[시론] 애매성의 시

 1  [시론] 애매성의 시-1
 2  [시론] 애매성의 시-2
 3  [시론] 애매성의 시-3
 4  [시론] 애매성의 시-4
 5  [시론] 애매성의 시-5
 6  [시론] 애매성의 시-6
 7  [시론] 애매성의 시-7
 8  [시론] 애매성의 시-8
 9  [시론] 애매성의 시-9
 10  [시론] 애매성의 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론] 애매성의 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애매성의 이론소개
1) 애매성의 정의
2) 애매성의 요인
3) 애매성의 실제
 
2. 작가소개와 선정배경 및 이유
1) 작가 김수영
2) 선정 배경 및 이유

3. 텍스트 제시 및 분석
1) 「눈」
2) 「말」
3) 「절망」
4) 「性」

4. 텍스트 중심의 좌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말의 첫 번째 기능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있다. 그래서 대개의 사람들은 보다 논리적이고 오해를 사지 않게 말하기 위해 애를 쓴다. 하지만, 시는 다르다. 시인은 비논리적이고 애매하게 말하고, 이는 시를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가 된다. 인생사는 복합적이고 애매한 것이기에 시인도 애매하게 말한다고 설명하는 이도 있다. 즉 일상적인 회화나 과학적 문장에서 애매성은 명백성(clarity)의 반대 의미로서 문장에서 배제해야 할 결함이지만 시의 언어가 과학적 언어와 다르다는 전제에서 애매성은 오히려 하나의 시적 장치로서 옹호된다.
이러한 생각의 기틀은 영국의 문예비평가 이보어A.리처즈(Ivor A. Richards)에 의해 비롯되었다. 그리고 윌리엄 엠프슨이 그의 생각을 더욱 발전시켜 주요저서 《애매성의 일곱 가지 유형 The Seven Types of Ambiguity》(1930)에서 언어의 난해성(難解性)과 다의성(多義性)을 분류하고, 시에서 이러한 표현은 단점이 아니라 장점이 된다는 애매성의 의의를 규명해내었다.
본고에서는 엠프슨의 《애매성의 일곱 가지 유형 The Seven Types of Ambiguity》를 중심으로 애매성의 이론에 대해 알아본 후 시인 김수영과 그의 시를 선정한 이유를 설명하고, 앞서 살핀 그의 시 「눈」, 「말」, 「절망」, 「性」의 전문과 그 시들의 애매성에 대해 담화를 나눈 것을 실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문광훈, 『시의 희생자 김수영』, (주)생각의나무, 2002
이승훈, 『시론』, 고려원, 1979.
홍문표, 『시어론』, 양문각, 1994
M.H.에이브람즈, 최상규 역, 『문학용어사전』 보성출판사, 1989.

-논문-
장도준, 시어의 특징과 세계인식 방법, 《한국전통문화연구》, 1994
정정덕, 「시어의 애매성 연구」, 어학연구소, 1988

-기타 참고-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