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

 1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
 2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2
 3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3
 4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4
 5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5
 6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6
 7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7
 8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8
 9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9
 10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0
 11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1
 12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2
 13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3
 14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4
 15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5
 16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6
 17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7
 18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8
 19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론] 판소리 서사체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판소리 서사체’ 개념의 채택

3. 표면적/이면적 주제론의 타당성 고찰
3.1. 표면적/이면적 주제론의 이론 전반
3.2. 조동일의 『흥부전』 주제 분석과 그 문제점
3.3. 조동일의 『춘향전』 주제 분석과 그 문제점
3.4. 조동일의 『심청전』 주제 분석과 그 문제점

4. 발표조의 입장
4.1. 판소리 서사체가 갖는 구술문학적 특징
4.2. 논의 종합 및 발표조의 견해


본문내용
1. 서 론

잠시 고등학교 시절 고전문학 시간으로 기억을 되돌려 보자. 네모난 교실 중간 어디쯤에 당신이 앉아 있고, 교실 앞면 진한 녹색의 칠판 앞에는 고리타분하게 생긴 국어 교사가 한 명 서있다. 그는 판소리 혹은 판소리계 소설 단원에서 ‘춘향가’인지 ‘춘향전’인지, ‘흥부가’인지 ‘흥부전’인지 정확히 짚고 넘어가지 않은 어떤 작품에 대해 설명하기 시작한다. 어차피 교과서에 실린 것은 ‘소리’로 구성된 판소리 그 자체가 아니라 ‘문자’로 된 서사물이기 때문에 ‘-전’인지 ‘-가’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말을 알아듣기 시작한 때부터 부모님들이 들려주시던 어린이용 이야기책을 통해 춘향의 사랑과 흥부의 우애심과 심청의 효심과 토끼의 지략에 대해 모르고 있는 학생은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판소리를 직접 들려주고 문제를 해결하라고 하지는 않기 때문에, 학생들은 그저 춘향과 흥부와 심청과 토끼의 ‘서사’ 그 자체에만 관심을 기울인다. 그런데 여기서 기존의 이야기책에서는 알려주지 않았던 것을 교사가 말하기 시작한다.
“판소리에는 두 가지 주제가 있다. 하나는 표면적 주제이고, 또 하나는 이면적 주제이다. 표면적 주제는…….”
어렸을 적부터 이 서사들의 주제 및 의의를 하나만 알고 있었는데, 일종의 반전(反轉)영화의 결말과도 같이 또 다른 주제가 있었다니? 이때부터 학생들은 교사의 말을 받아 적고 교사의 지시에 따라 별표를 치기에 바쁘다. 권선징악이 다가 아니었다. 심지어 어떤 학생들은 교사가 설명해 준 각 작품들의 이면적 주제를 되새기며 자신이 그동안 얼마나 편협한 사고를 가지고 있었던가 하는 반성까지 한다. 그리고 대다수의 학생은 판소리의 주제가 두 개라는 사실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다. 교과서에 그렇게 쓰여 있으므로.
그러나 과연 판소리와 그와 관련된 서사물을 아우르는 개념인 ‘판소리 서사체’의 주제를 표면적 주제 하나, 이면적 주제 하나로 고착화시켜서 설명할 수 있을까? 본 발제문에서는 판소리 서사체에 대한 조동일의 이분법적 주제론을 그의 작품분석을 토대로 살펴보고, 이러한 이분법적 주제론의 타당성을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김대행, 「판소리란 무엇인가」,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김진영, 「판소리와 판소리계소설의 관계」,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설중환, 『판소리 사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4.
성현경, 『한국 옛 소설론』, 세문사, 1995.
송효섭, 「구술문학과 기호학」, 『구비문학연구』제13집, 한국구비문학회, 2001, 12쪽.
유영대, 『심청전 연구』, 문학아카데미, 1991.
정병설, 「한국 고전소설의 주제」, 『한국 고전소설의 세계』, 돌베개, 2005.
정하영, 「‘심청전’에 나타난 악인상」, 『심청전 연구』, 태학사, 1999.
정하영, 「春香傳의 主題」, 『한국문학사의쟁점』, 집문당, 1986.
정하영, 「‘深靑傳’ 主題 再考」, 『백영 정병욱 선생 환갑기념논총』 백영 정병욱 선생 환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편, 신구문화사, 1982.
조동일, 「‘심청전’에 나타난 비장과 골계」, 『심청전 연구』, 태학사, 1999.
조동일, 「‘춘향전’주제의 새로운 고찰」, 『우리 문학과의 만남』, 홍성사, 1978.
조동일, 「판소리의 전반적 성격」,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84.
조동일, 「『흥부전』의 양면성」, 『흥부전연구』, 집문당, 1991.
천이두, 『한의 구조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3.
최래옥, 「‘심청전’의 총체적 분석」, 『한국학논집』 5,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984.
최진원, 「「春香傳」」의 合理性과 不合理性」,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비평사, 1978.
최진형, 「판소리 서사체의 주제에 대한 일고찰」, 『반교어문연구』제27권, 200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