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

 1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
 2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2
 3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3
 4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4
 5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5
 6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6
 7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7
 8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8
 9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9
 10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0
 11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1
 12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2
 13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3
 14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4
 15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5
 16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6
 17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7
 18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8
 19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19
 20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춘향전의 정전으로서의 배경과 담론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Ⅱ. 본론

1. 의 정전으로서의 배경
1.1. 정전으로서의 일차적 기반
1.2. ‘춘향전’의 가치의 발견 과정
1.3. 정전으로서의 ‘춘향전’의 성격
1.4. ‘춘향전’은 이제 부동의 고전이고 정전인가?

2. 의 다양한 논의
2.1. 주제에 대한 논의
2.2. 구성에 대한 논의
2.3. 의 판소리 담론적 논의
2.4. 의 다양한 이본에 대한 접근

3. 연구사 개괄 및 담론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현재 ‘춘향전’은 누구나 친숙하게 알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이자 한국의 국어교육, 특히 문학 교육의 대표적인 정전이다. 그렇다면 ‘춘향전’은 처음부터 정전으로서의 운명을 타고 났는가. 최근에 들어 문학계 전반에 정전의 해체와 반성을 위한 목소리가 꾸준히 커지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이 가운데 정전 중에서도 대표격인 ‘춘향전’ 역시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정전이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지니기에 이에 대한 문제제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현재의 정전 논란이 생겨난 배경과 그것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살펴볼 일이다.
우선, 정전의 정의부터 명확히 하자면, 정전이란 넓은 의미에서 한 문화권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부여받고 보존되는 텍스트들을 총칭한다. 정재찬,「문학 정전의 해체와 독서현상」(『독서연구』제 2호, 한국독서학회, 1997, 07), pp. 103~133.
그렇다면 여기서 드는 질문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누군가가 있을 텐데, 그것이 누구냐인 것이다. 분명 한 작품을 정전으로 채택하는 어떤 관점이 있을 것이다. 이 관점은 과연 보편적이고 객관적이었을까. 그렇다면 과연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라는 것의 기준이 명확히 있는가. 이 개념들은 실재하는가의 철학적 물음도 가능하다. 미셸 푸코는 그의 ‘지식-권력’이론에서 모든 종류의 인간 지식을 권력의 산물로 보았다. 즉, 우리가 쉽게 보편타당하다고 믿는 지식 체계들이 사실상 권력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한 시대에 통용되는 진리의 이면에는 그것을 정당화시키는 그 시대의 ‘담론의 질서’가 존재한다. ‘담론의 질서’란 담론 자체에 권력이 내장되어 있다는 점 뿐만 아니라, 담론 자체가 권력에 의해 작동하며 정당화된다는 것을 뜻한다. 다른 한편 담론만으론 이런 권력을 유지 할 수 없다. 여기서 동원되는 사회적 제도와 장치들의 예로, 학교, 군대, 감옥 등을 든다. M.푸코, 『담론의 질서』(이정우 역),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8.
이러한 푸코의 주장을 한국의 정전 구성 과정의 역사에 적용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국내 논저
김광순, 「춘향전 연구의 경향별 검토와 쟁점」,『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2004.
김광해, 「정전으로서의 춘향전의 성격」(『선청어문』33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05, 1), pp. 153~170.
김동욱, 『춘향전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김영희․이대형, 「춘향전 연구사」,『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2004.
김정경, 「고전문학의 지식체계 형성에 대한 담론적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2월.
김태준, “춘향전의 현대적 해석” 『동아일보』1935. 1. 18.
김현주, 「의 연행론적 연구 -“춘향가”와 춘향전“의 대비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판소리 사설의 상호텍스트성」『한국문화연구』,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98.
김흥규, 「신재효 개작 춘향가의 판소리사적 위치」,『한국학보』10 ,1978.
설성경, “춘향전 주제의 특성”, 「한국학 연구 방법론」, 1983.
성현경, 「이고본 춘향전 연구 - 그 축제적 구조와 의미, 문체와 작가」, 『판소리연구』3, 1992.
박희병, 「춘향전의 역사적 성격 분석」,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1985.
윤오영, “춘향전의 문학적 가치에 대한 재검토” 『창작과 비평』통권 28호, 1973.
이광래, 『미셸 푸코-'광기의 역사'에서 '성의 역사'까지』, 민음사, 1989.
이병기․백철 『한국문학사』, 신구문화사, 1963.
정재찬,「문학 정전의 해체와 독서현상」(『독서연구』제 2호, 한국독서학회, 1997, 07), pp. 103~133.
정출헌, 「19세기 판소리사의 추이와 신재효」,『어문논집』Vol.37 No.1, 안암어문학회, 1998.
정하영, 「춘향전의 주제」, 『한국문학사의 쟁점』, 1986.
, 「춘향전 개작에 있어서 신분문제․ 춘향의 신분이동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17․18,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