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인가객시조 레포트

 1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
 2  중인가객시조 레포트-2
 3  중인가객시조 레포트-3
 4  중인가객시조 레포트-4
 5  중인가객시조 레포트-5
 6  중인가객시조 레포트-6
 7  중인가객시조 레포트-7
 8  중인가객시조 레포트-8
 9  중인가객시조 레포트-9
 10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0
 11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1
 12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2
 13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3
 14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4
 15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5
 16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6
 17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7
 18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8
 19  중인가객시조 레포트-19
 20  중인가객시조 레포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인가객시조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중인가객의 가집편찬: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3. 중인가객의 연행 유형
4. 중인가객의 시조와 시세계
1) 김천택, 김유기
2) 김수장
3) 안민영
5.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우리는 지금까지의 수업에서 형성기, 발전기 시조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조선 중기까지의 주된 시조 향유층은 양반층이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이르러 신분질서가 흔들리고 상업경제가 발달하면서 경제적 부를 이룬 중인층이 대두되게 되었고, 시조의 향유층은 확대되었다. 이러한 시조의 저변 확대 이면에는 가객들의 노력이 숨어있었다. 이들은 가집을 편찬하고 전문적인 연행문화를 형성하고, 시조 음악의 변화를 주도한 사람들이었다.
논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고에서 살펴볼 중인가객시조의 범위 설정을 명확히 하도록 하겠다. 본고에서 살펴볼 중인가객이란 첫째, 위항인 중에서도 위항시인과는 구별되는 신분을 가진 중인계층의 사람들이며 둘째, 시조의 연행과 함께 창작 활동도 해서 그 작품을 살필 수 있는 자이다. 또한 시조의 음악적 측면에 대한 부분은 논외로 하고 중인가객시조의 국문학적 측면에서의 족적에 초점을 맞출 것이며 사설시조는 다음 조에서 다루게 될 것이므로 본고에서는 다루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중인가객들에 의해 편찬된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삼대 가집에 대한 서지학적 내용을 살펴본 뒤 시기와 맞물려서 달라지는 중인가객들의 연행 유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중인가객들의 작품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김용찬, 『조선 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서울: 도서출판 월인, 2007.
김용찬, 『18세기의 시조문학과 예술사적 위상』, 서울: 도서출판 월인, 1999.
이동연, 『19세기 시조 예술』, 서울: 도서출판 월인, 200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서울: 지식산업사, 2007.
안민영, 김신중역, 『역주 금옥총부』, 서울: 박이정, 2003.

김정화, 「청구영언(진본)』과 『古今和歌集』를 통해 본 한ㆍ일 시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지향」, 『국어교육연구 47』, 서울: 국어교육학회, 2010.
김현주, 「조선후기 시조문학 연구 -김천택,김수장 작품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2001.
류현재, 「김천택 시조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박용식, 「김천택과 김수장의 對比硏究」, 「청람어문교육 Vol.9」, 청람어문학회, 1993.
이신성, 「김천택의 시조연구」, 『국어국문학 논문집 제2집』,동아대학교, 1978.
조태흠, 「조선후기 가객의 유형과 그 문학적 의의」, 『韓國文學論叢 23』, 서울: 한국문학회, 2008.
정상균, 「김수장 시가 연구」, 「국어교육 No.59」,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87.
황충기, 「金壽長論」, 「국어국문학 No.96」, 국어국문학회, 1986.

블로그,「가인(歌人) 안민영(安玟英, 1816~?, 70여세)」(http://botw.egloos.com/10153559).
한국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http://db.itkc.or.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