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

 1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1
 2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2
 3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3
 4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4
 5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5
 6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6
 7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7
 8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8
 9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9
 10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10
 11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11
 12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12
 13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13
 14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14
 15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강호가사의 발전양상과 작품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강호가사의 개념과 기원

Ⅲ. 강호가사의 특징

Ⅳ. 강호가사의 발전양상

Ⅴ. 강호가사의 주제별 작품
1. 자연친화
2. 연군지정
3. 현실도피

Ⅵ. 맺음말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머리말

가사(歌辭) 문학은 4·4조의 율조라는 형식과 한 행이 4음보로 되어있다는 것 외에는 까다로운 형식이 없어 창작이 비교적 용이하였고, 이로 인해 사대부들의 문학으로 자리 잡았다. 사대부들이 문학의 주 담당계층 임을 인지할 때에 ‘가사’는 국문학을 대표하는 문학의 종류 중 하나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사 속에는 주로 사대부의 이념적 기반인 ‘성리학’을 바탕으로 대상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가 잘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강호가사는 대상-자연에 대한 예찬-에 대한 인식이 잘 구현되어 있어 조선조 대표 문학이라 평가할 수 있는데, 이는 강호가사의 배경이 되는 강호자연이 사대부 시인이 미적체험을 하는 곳인 동시에 그 공간은 사대부의 정신적, 현실적 삶에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어, 그들이 바라보는 대상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시가장르에서 ‘강호’를 예찬하는 작품을 찾을 수 있으나, 작품 속 미의식의 표현에서는 단연 강호가사가 압도적이다. 때문에 ‘강호가사’는 의의가 높다고 평가받는다.
때문에 본 발표에서는 이처럼 사대부들의 이념과 대상에 대한 인식이 조화롭게 그려지고 있는 ‘강호가사’에 대하여 형성배경과 그 발전양상, 그리고 주제별 작품을 살펴보고, ‘강호가사’가 갖고 있는 문학사적 의의를 이해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전일환, 『우리 옛 가사문학의 이해』, 전주대학교 출판부, 2002.
김진희, 「조선전기 강호가사의 시학」 『한국시가연구 24권』, 한국시가학회, 2008.
조윤제, 『한국문학사 제7판』, 탐구당, 1994.
정재호, 『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6.
안혜진, 「강호가사의 변모과정 연구」, 『우리어문연구 28권』, 1998.
임기중, 『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 제9권』, 아세아문화사, 2005.
정무룡, 「 연구」, 韓民族語文學, Vol.54 No.-, [2009]), 한민족어문학회, 2009, p.301.
전일환, 『조선가사문학론』, 전주대학교 출판부, 1994.

-학위 논문-

남정희, 「月先軒十六景歌」의 江湖 공간과 시적 형상화의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강미옥 , 강호가사연구(江湖歌辭硏究),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남동걸, 「조선시대 누정가사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1.
김명준, 「16·17세기강호가사의 변모양상」, 어문논집 제 41집, 2000.
박연호, 「장르론적 측면에서 본 17세기 강호가사의 추이」, 어문논집 제45집, 2002.
이승남,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 2007.
윤석산,「상춘곡(賞春曲)」 구조 연구, 1998.
김신중,「문답체 문학의 성격과 < 성산별곡 >」, 2001.
김진구, 「17세기 사대부가사의 세계관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최서임, 「정철의 「관동별곡」연구」, 서울 :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전일환,「송강가사 그 이전가사의 비교연구」, 전북대석사학위논문, 1979.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