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

 1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1
 2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2
 3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3
 4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4
 5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5
 6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6
 7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7
 8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8
 9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9
 10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10
 11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11
 12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호국용신화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의미 고찰-문무왕법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본론
1) 한국에서의 용
2) 원문 자료 소개
(1) 삼국유사
(2) 삼국사기
3) 김진환(용신의 특수성)
(1) 불교용
(2) 숭불호국용
(3) 신라의 호국용 사상
4) 김영남(미시나 아키히데의 용신신앙 연구)
5) 이동철(호국용 테마의 탄생과 의의)
(1) 집권세력과 호국용 설화
①문무왕대
②신문왕대
(2) 호국용 설화 나타난 용신의 양상
①문무왕 설화
②호국용 설화 수용된 용신신앙의 의미

3. 맺는 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용이란 것은 사실 흥미로운 주제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국내에서는 활발한 연구주제가 아니다. 실제로도 임진년 검은 용의 해를 맞아 연초부터 전시회, 교양서, 작품전 등 여러 분야에서 용이라는 아이템을 마케팅하고 있지만 정작 한국의 용에 대한 진지한 연구사례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때문에 용에 대한 연구, 특히 고대한국의 시각에서 바라본 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신라의 용이라는 테마를 정한 것은 수업 중 석탈해신화와 미시나 아키히데에 관련된 연구에 대한 내용을 들으며 신라사회에 용은 실제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 것인가에 대한 호기심이 들었기 때문이며, 더불어 일본의 연구에 대응해서 국내에선 어떠한 방향으로 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을지 또한 궁금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학자들 사이에서 용에 관한, 체계적이고 목적성이 뚜렷한 연구가 생각보다 활발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크게 호국용(護國龍), 즉 나라를 지키는 용이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그리고 호국용 테마 설화의 대표적인 예인 문무왕법민을 중심으로 신라의 사회, 문화, 정치적으로 용이라는 아이콘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참고문헌
전기웅, “삼국유사 설화 속의 용” 『지역과 역사』 제27호(부경역사연구소, 2010)
김진환, “용신사상에 관한 고찰” 『동국사상』 제18집(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1973)
장정식, “만파식적 설화의 역사적 의미와 배경”
윤철중, “만파식적설화 연구”, 『한국도래신화연구』 (백산자료원, 1997. 11p)
이기백, '상대등고', 『역사학보』 vol. 19 (역사학회, 1962. 106p)
이병도, 『한국사』 고대편, (을유문화사, 1959. 645p.)
신형식, "신라병부고" 『역사학』 vol. 61, (역사학회, 1974, 85p.)
김영남, "자기동일성 형성 장소로서의 신화연구"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서대석(편),『구비문학』, (해냄 출판사, 1997)
서영대·송화섭 『용 신화와 문화 한국편』, (민속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