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

 1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
 2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2
 3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3
 4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4
 5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5
 6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6
 7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7
 8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8
 9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9
 10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0
 11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1
 12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2
 13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3
 14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4
 15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5
 16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 조선후기 및 개화기교육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실학사상 및 동학사상
1. 실학사상
1) 실학의 개념
① 조선후기 영․정조 시대는 양반사대부들이 집권하던 시기로서, 그들의 정치적인 횡포와 당쟁싸움 등의 폐단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큰 위기에 처했다. 경제적 위기 등을 모면하 려는 지배계층에 반발하여 생겨난 실학은, 영 정조 시대 이후 양심적인 학자 지식층을 중심으로 나타난 일정한 역사적 시기의 학문경향으로,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사변적인 주자학에 대한 비판을 가하였다.
② 학문적 경향 - 그들의 학문적 관심은 성리학의 관념적인 성격을 벗어나서 실생활의 유익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근대 지향적이었으며, 실용과 실증적 정신에 입각하여 근 대화의 필수과정인 토지제도와 상공업 생산기술의 개혁과 향상 등에 있었다.
③ 민중의 편에 선 지식인들의 개혁사상

*주자학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 ; 朱子)가 완성한 신유학(新儒學)으로, 육조시대(六朝時代)부터 수당시대(隋唐時代)의 사상계를 석권한 불교와 도교(道敎)를 극복하고, 번쇄하고 공허한 자구해석(字句解釋)에 빠졌던 장구학(章句學)에서 탈피하여 경서의 참된 정신과 공맹(孔孟)의 근본이 되는 취지를 밝히려는 송 대(宋代) 유학의 완성이다.
주자학의 사상적 특징은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기심성학(理氣心性學)을 수립했다는 사실이다.(성리학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