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

 1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1
 2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2
 3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3
 4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4
 5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5
 6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6
 7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해방 후 한국사연구의 발흥과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방 후 한국학 연구 분위기
2. 8.15 해방과 역사학자의 동향
3. 학회의 결성과 학회지
4. 한국사의 서술
5. 해방 전 연구성과의 수용 문제
6. 방법론의 정비와 과제
7. 해방 후 한국사 연구의 의미
본문내용
4. 한국사의 서술
1) 해방 직후의 개설서
: 학회할동이 새롭게 일어났던 것과 아울러 단행본 저술이 늘어남, 교과서 종류가 많았는데 해방 후에는 대학교재사 전문서로 저술된 것이 많았다.

-통사로 간행된 개설서
(1)최남선, (1945) : 전통시대의 역사서술방식 + 문화사학의 방식
(2)문석준, (1945) (1946): 맑스주의, 북한에서 간행된 유일한 통사저술
(3)이병도·김상기 (1946): 군정 치하의 국정 교과서, 1920년대 문화사학자의 관점
(4)김성칠, (1946): 한글전용, 쉬운 역사책, 문화사학의 서술방식
(5)조선사연구회, (1946): 전공교재로 적합, 유물사관,
(6)이병도, (1948): 대학교재로 저술 “역사는 과학이다”, 변화적, 진보적, 발전적인 것으로 인식
(7)김상기, (1948): 해방 후에 서울에서 간행된 유물사관에 의한 대표적 통사 저술서 맑스주의의 도식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독자성+논리정연
(8)손진태. (1949): 교양서로 저술, 통사, 한국사발전과정의 독창적인 견해 표명, 실증사학
(9)오장환, (1949): 중등교과서, 한글전용, 문화주의적 구조논리
(10)이인영, (1950): 한국사를 민족을 주체로 한 자연환경, 역사환경, 국제환경과의 관계에서 이해하려고 노력, 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추구

2) 시대사와 분류사의 양산
(1)각 시대사와 독립운동사
-시대사저술 -전통시대의 연구 : 이북만, (1948) / 박극채·전석담·김한주·박시형 (1946)
-구한말의 연구 : 김종국, (1947) / 김영건, (1949)/ 이선근,
-현대사·당대사 연구: 식민지 시기 사회연구 또는 독립운동사에 관한 간행물
->독립운동사 간행물(해방직후 12권 간행물+팜플렛 9권)
-해방이전: 박은식, (1920) / 해방이후: 최남선, (1946)
->인물의 전기: 등장인물을 통하여 현대사 인식의 성향 파악 가능 (14권)
-김구, (1947) / 이광수, (1948)
한계: 독립운동사에 대한 저술이 적지 않았지만 빈약함. 현대사의 인식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는데 그 후 1950년대 1960년대에 외면함.
-통사와 시대사 저술 의의
①식민지시기 이래 한국사학의 연구 성과를 종합
②새로 연구한 결과물
③식민사학의 극복이라는 한국사학으로서의 역할
④독립운동사적 현대사인식의 확신
(2)분류사 단행본의 양산
-해방 후의 저술목록들을 보면서 생각해야 될 문제 (: 13권, : 9권, : 37권이 발행됨)
①분류사 연구에 대한 오늘날의 계속성 문제
②정치사 연구가 부진: 전통시대의 정치사연구는 거의 없음
③저자 가운데 식민지시기에 친일문필을 휘두른 이가 쉽게 발견됨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