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

 1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
 2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2
 3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3
 4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4
 5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5
 6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6
 7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7
 8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8
 9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9
 10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0
 11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1
 12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2
 13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3
 14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4
 15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5
 16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6
 17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7
 18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8
 19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19
 20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재생 에너지
Ⅱ. 조력 발전
Ⅲ.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
Ⅳ. 총체적 문제
Ⅴ.결론
본문내용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우리의 논의는 이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과연 신재생에너지는 무한한 에너지인가.
이 기사에서의 핵심 내용은 신재생에너지의 일종인 수소에너지는 막대한 물이 필요하며, 수소에너지를 이용한다면, 100년 내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물부족 현상을 겪게 된다는 것이다. 즉, 우리는 청정에너지를 사용할 것인가, 식수를 사용할 것인가 라는 극단적인 질문에 대답하여야한다. 이러한 질문에 어떤 대답을 하여야 합리적인가에 대하여 우리의 논의는 시작되었다.

에너지 분류는 기존에너지와 대체에너지로 나뉘게 되고 , 다시 대체에너지 속에 신재생에너지가 포함된다.

신에너지- 수소전지, 핵융합, 연료 전지
재생 에너지- 풍력, 수력(조력), 태양광등

그러나 우리나라 사정상 재생에너지는 생소하고, 연구가 덜된 분야이다.
신재생에너지가 청정에너지며 인간과 환경에게 좋을 것이다라는 일반론이 있으나, 이는 예측일 뿐 객관적인 예측이 될 수 없다.
그래서 재생에너지의 선발 국가인 유럽 및 북미의 사례를 잠깐 들여다 보면 친환경적이다라는 말은 할 수 없게된다.
독일의 해상 풍력발전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 파괴
캘리포니아 태양광에너지 발전으로 인한 산림 파괴
캐나다 애나폴리스조력 발전소로 인해 희생된 물고기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친환경성은 장담할 수 없다.
외국에서 이러한 부작용을 심각하게 겪고 있는데, 후발주자인 대한민국의 재생에너지 개발 방향이 타당한가에 의문이 든다.
이러한 의문은 극단적인 대립으로 불거졌다. 환경 보전 대 개발
갈등 사례를 통해 재생에너지 개발 방향의 타당성을 짚어보도록 하겠다.
그 중 요즘의 핫 이슈인 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갈등을 중심으로 알아보겠다.

조력 발전(潮力發電)은 바다의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조석현상으로 인해 해면 높이의 차이가 생기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치에너지의 차이를 전력으로 변환하는 발전방식이다. 조석발전이라고도 한다.
기본 원리는 조류가 밀려드는 동안 수문이 열려 저수지가 채워지고, 만조(滿潮)일 때는 수문이 닫힌다. 유입한 바닷물을 높은곳의 저수지에 가두어 두었다가, 간조(干潮)와 같이 터빈을 작동시킬 만큼 충분한 낙차(落差)를 얻을 때 물을 방수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원리이다. 즉 저수지로 흘러들어온 조류로 터빈을 작동시켜 발전하는 방식이므로 조력 발전이라고 부른다.
실제적으로는 조차가 큰 강 하구나 만에 방조제를 건설하여 조지를 만들고 방조제 안과 밖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발전 방식은 대체로 수력 발전과 비슷하다.


이 중 시화호 조력발전은 ‘11년 8월 완공되어 8월 28일 상업발전 시작
나머지 4개 발전 사업은 인허가 및 타당성 검토, 주민보상 등을 진행 중에 있음

2010년 우리나라 CO2 배출량이 세계 7위를 기록하면서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급격히 높이기 위해 RPS제도를 도입하게 됨.
사업자들은 자신들이 달성해야 할 재생가능에너지 할당 목표를 조력발전을 통해 한꺼번에 대규모로 얻는 것이 손쉽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인천만 조력발전 경제석 평가 : CVM 및 IO 분석 – 이준행, 노용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