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

 1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
 2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2
 3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3
 4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4
 5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5
 6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6
 7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7
 8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8
 9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9
 10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0
 11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1
 12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2
 13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3
 14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4
 15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5
 16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6
 17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7
 18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8
 19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19
 20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통계] 상관관계 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1 상관관계의 정의
1-2 상관관계 의 목적

2. 본론
2-1 상관관계의 형태
2-2 산점도와 상관계수
2-3 상관관계의 성격
2-4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의 관계
2-5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2-6 상관분석과 공분산
2-7 상관분석이 가능한 프로그램
2-8 상관관계 분석의 예

3. 결론
3-1 상관관계 정리
3-2 Quiz&Q&A

본문내용
국어적 정의
세계의 모든 사물ㆍ현상ㆍ과정은 서로 연관되어 작용하면서 운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체적 관련 속에서, 한편이 다른 한편과 관계를 떨어뜨리면 존재할 수 없는 특정의 관계 에 있는 것을 가리킨다.

수학적 정의

변수와의 변수간의 관계로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에 있어서 한 변수가 커지거나 작아질 때, 다른 변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그 변동의 정도와 방향을 예측하여 알려주는 관계 에 있는 것을 말하며, 한쪽의 증감이 필연적으로 다른 쪽의 증감을 수반한다.


상관관계는 서열 척도, 등간척도, 비율 척도로 측정된 변수들간의 관련 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변수가 다른 변수와의 어느 정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변화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다.

1. 강한 양의 상관관계
+1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직선 주변에 관찰 값 들이 집중된다. 이는 한 변수가 증가하면 또 다른 변수도 증가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조금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0.7~+1.0의 상관계수를 갖는다.


2. 약한 양의 상관관계
관찰 값 들이 +1 직선주변에 있지만 약간 퍼져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03.+0.7의 상관계수를 갖는다.

3. 강한 음의 상관관계
-1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직선 주변에 관찰 값 들이 집중된다. 이는 한 변수가 감소하면 또 다른 변수도 감소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조금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1.0~-0.7의 상관계수를 갖는다.


4. 약한 음의 상관관계
관찰 값 들이 -1 직선주변에 있지만 약간 퍼져있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0.3~-0.7의 상관계수를 갖는다.


5. 상관관계가 없는 관계
두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매우 어려울 때 이 때 상관계수는 거의 0에 가까워진다. 이는 두 변수 들 간의 관계가 전혀 없는 독립적인 관계임을 의미한다.

※양의 상관관계의 예 : 어떤 물건을 사는 개수와 물건값, 공부시간과 성적, 핸드폰 통화량과 핸드폰 요금, 식사량과 몸무게 , 소득과 재산세 등.
※음의 상관관계의 예 : 상품의 가격과 수요, 산의 높이와 온도 , 의사 증가율과 1인당 환자 부담률, 체감 경기지수와 소주의 판매량 등


2.상관계수
상관관계의 정도를 수학적인 수치로 정량화하여 표시한 지수이다.

보통 ’r’로 표시된다.
r의 값이 +1의 경우에는 두 현상 사이에 완전한 적극적 상관관계
-1일 때는 완전한 소극적 상관관계
0일 때는 하등의 관계가 없다

주로 쓰는 상관계수 산출에는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와 ‘스페어만의 순위상관계수’ 등이 있다.

① 각 변수를 평균으로 부터의 편차로 바꾼다.

② 두 편차를 서로 곱한 뒤 합친다.

③ 각 편차를 제곱하여 합치고, 다시 제곱근을 취한다. 두 제곱근을 곱한다.

④ 위2에서 얻은 값을 위3에서 얻은 값으로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