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

 1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
 2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2
 3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3
 4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4
 5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5
 6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6
 7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7
 8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8
 9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9
 10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0
 11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1
 12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2
 13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3
 14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4
 15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5
 16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6
 17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7
 18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8
 19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19
 20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효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세종의 발명품

1. 측우기

2. 수표

3. 해시계

4. 갑인자



◆ 본론
-발명품으로 인해 늘어나는 사회적 후생

-경제이론을 토대로 한 응용과 분석


◆ 결론

-세종의 경제발전과 리더쉽
본문내용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지만 가장 주된 요인 중 하나로 과학기술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오늘날과 조선시대의 과학기술에는 질적으로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조선시대에도 과학기술의 발전이 경제성장을 가져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세종대왕의 과학기술 발전에 대하여 경제학적, 국제 통상학적 시각에서 바라보았고, 경제와 국제통상의 공통되는 거시경제학적 관점에서 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세종대에는 어떤 발명품들이 있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성장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려한다.


세종의 발명품

1) 측우기

측우기가 발명된 이유는 [세종실록]에서 찾을 수 있다. 세종 23년 8월 18일의 기사에 “호조에서 건의하기를, 각도 감사가 우량을 보고하도록 하는 법을 시행 중이나 흙의 건조하고 습한 성분이 같지 않고, 흙속으로 빗물이 스며 든 깊이(入土淺深)도 알기 어려우니 서운관에 석대를 놓고, 높이 2척, 지름 8촌이 되는 쇠그릇을 주조하여 석대 위에 올려놓고 빗물을 받아, 관원으로 하여금 자로 수심을 재어 보고하게 하고 ......”라는 구절이 있다. 측우기가 상용화되기 이전의 제도는 호미나 보습으로 땅을 파내고 빗물이 스며든 양을 감각적으로 알아서 임금에게 보고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비가 온 후 측정은 토양의 종류, 특성, 건조 상태, 땅의 상태가 다 달라 표준화가 어려웠다. 세종의 세자인 문종이 빗물의 양을 수치로 재는 측우기를 제안했다. 측우기의 발명가가 장영실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측우기는 1442년 세종의 명을 받은 세자 문종의 아이디어이다.
1425년 조선 봄 가뭄은 치명적 수준이었다. 따라서 농사철에 대한 비의 양은 왕의 관심사였다. 가뭄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세종의 노력은 결실은 1441년 8월18일 최초 우량계로 맺어졌다. 그릇을 쇠로 부어 만들되 길이는 약40cm가 되게 하고 직경은 약16cm가 되게 한다. 강우가 오는 패턴을 알게 되는 노력의 일환으로 1442년 측우기 등장하였다. 무게는 6.2kg 안지름이 약16cm로 좀 넓고 키가 큰 측우기 형태였지만 약 10개월 뒤 문종이 여러 실험을 거쳐 최종측우기는 시제품보다 약간 작아졌다. 측우기가 너무 크면 빗물의 양이 바로 증발하고, 너무 좁으면 빗물을 모으기가 힘들어 적정크기를 도출한 것이다. 측우기 입구가 지면에서 낮으면 지면에서 튀어 올라 빗물이 안쪽으로 들어올 수 있고, 그릇 안에 빗물이 튀어서 밖으로 나갈 수도 있어서 정확한 관측이 힘들었다. 따라서 측우기의 높이는 낙하량에 고려해서 정해졌다. 이 높이는 세계기상기구(WMO)에서 규정한 크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측우기 사용으로 종래 감각적인 강우량 보고제도 제도가 척(尺)‧촌(寸)‧분(分)을 단위로 10진법을 써서 측정하는 정량적인 측우제도로 혁신되었는데 이는 세계 기상학사상 전무후무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