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

 1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1
 2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2
 3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3
 4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4
 5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5
 6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6
 7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7
 8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8
 9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9
 10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10
 11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11
 12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12
 13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13
 14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14
 15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대외관계사]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설
Ⅱ. 나선정벌과 대외관계
Ⅲ. 백두산정계비 건립의 배경
1. 백두산정계비 건립 이전의 조선시대 북방관계
2. 봉금정책의 시행과 목적
3. 월경문제의 대두와 조선정부의 대응
Ⅳ. 백두산정계비의 건립과정
Ⅴ. 정계비 건립 이후의 북방관계와 간도문제
1. 백두산 정계비설치 이후 청과 조선의 완충지대로서의 간도
2. 18세기 후반의 한족유민
3. 조선인의 간도 이입
4. 간도를 둘러싼 청과 조선의 영유권 주장
Ⅵ. 결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설

근대사회의 역사의식은 국민국가(nation-state)라는 틀에 갇혀 규정되어 왔다. 역사는 민족(또는 국민, nation)에 속한다는 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민족 그 자체는 대단히 논쟁적인 현상으로 남아있다. 한 국가의 정권이나 정치가는 물론 국민들까지도 민족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며 의미해야 하는지 합의를 쉽게 이끌어내지 못한다. 이러한 난제 속에서 민족이 역사 속에서 궁극적인 안식처를 찾으려 한다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이다. 또한 오늘날의 민족에 속하지 않는 역사를 되짚어 보는 것도 여전히 어렵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이것은 한국사에서도 예외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사실, 한국 역사의 첫 장을 장식하는 고대사에서도 '민족'을 제외하고 논의를 시작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측면들도 이를 잘 말해주는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민족 담론 속에서 특히 만주 혹은 간도에 대한 애착은 쉽게 버리지도 못하고, 일정부분 현상을 올바로 보지 못하게 하는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본고에서는 대외관계사의 측면에서 이와 관련하여 조선후기 북변외교에 중요한 화두들 중 대표적인 '나선정벌'과 '백두산정계비'에서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강주진,「한국과 러시아의 외교사적 고찰」『대구사학』제12·13집, 대구사학회, 1977
김두현,「청조정권의 성립과 발전」『강좌 중국사Ⅳ -제국질서의 완성』,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지식산업사, 1989.
金得榥,「朝鮮의 北方疆域에 관하여」『白山學報』제41호, 1993.
김우준,「한 중 및 한 일간 외교분쟁-간도, 독도 및 동해문제를 중심으로-」『白山學報 第57號』, 2000.
金炅春, 「朝鮮朝 後期의 國境線에 대한 一考-無人地帶를 中心으로-」『白山學報』29호, p.141).
김춘선,「조선후기 한인의 만주로의 '犯越'과 정착과정」『白山學報』제51호, 1998
김춘선,「압록 두만강 국경문제에 관한 한 중 양국의 연구동향」『韓國史學報』제12호, 2002.
김혜자, 「朝鮮後期 北邊越境問題 硏究」『梨大史苑』제18 19합집, 1982.
박태근,「조선군의 흑룡강출병(1654~1658)」『한국사론』9 (『조선후기 국방체제의 제문제』), 국사편찬위원회,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