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

 1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1
 2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2
 3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3
 4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4
 5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5
 6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6
 7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7
 8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8
 9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9
 10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대외관계사] 공민왕반원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I. 공민왕 즉위 이전의 시대적 배경

II. 공민왕 전반기의 반원정책
1. 즉위 초의 반원정책
2. 한인 군웅(漢人群雄)과의 관계
3. 공민왕 5년의 반원정책

III. 신돈의 등용과 공민왕 후반기의 반원정책
1. 원․명(元․明) 교체기의 고려의 반원적 개혁정치 -신돈의 등장을 중심으로-
2. 친명정책의 추진

나가며
본문내용
들어가며
공민왕의 개혁을 두고 반원정책이라 하기도 하고 개혁정책이라 하기도 한다. 실제로 이 둘 사이의 경계점이 어디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백여 년간 지속된 원과의 관계 속에서 정립된 많은 것들을 다 뜯어고치는 상황에서 모든 정책은 반원이기도 하고 개혁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공민왕 즉위 전의 시대적 배경과 전반기, 후반기의 반원 정책과 개혁을 살펴보되 국내의 개혁보다는 주로 원과 명, 그리고 그 사이의 한인(漢人) 군웅들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 정책들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I. 공민왕 즉위 이전의 시대적 배경
공민왕 즉위 이전의 시대를 성명해 주는 사례로는 거듭되는 왕의 중조(重祚)와 입성책동(立省策動)을 들 수 있다. 충렬왕(忠烈王)은 재위 중(王24년, 1298) 원의 압력으로 아들인 충선왕(忠宣王)에게 전위(傳位)했으나 7개월 후에 원은 충선왕을 퇴위시키고 충렬왕을 재즉위(再卽位)케 했다. 10년이 지나 충렬왕이 죽자 그동안 원도(元都)에 불려가 있던 충선왕이 다시 즉위하였다. 그 후에 충숙왕(忠肅王)과 충혜왕(忠惠王)의 부자도 비슷한 형식으로 중조되었다. 이처럼 왕이 거듭하여 즉위하는 중조의 현상이 여러 번 나타난 것은 원이 고려왕의 즉위와 퇴위에 대한 절대적 권한을 갖고 그것을 마음대로 행사한 때문이었으며, 그 결과 고려왕의 권위(權威)는 크게 실추되었다. 閔賢九, 1998, 「政治家로서의 恭愍王」『아세아연구』, 아세아문제연구소

입성책동(立省策動)도 당시의 상황을 알려주는 특징적 사건이었다. 입성책동이란 고려에 원의 내지(內地)와 같은 성(省)을 세우자는 것으로 고려의 조정(朝廷)을 없앰으로써 그 독립왕국의 지위를 말살시킨다는 의미를 지닌다. 4번 가운데 3번의 입성책동은 고려 사람이 원에 직접 요청하는 형식으로 제기되었는데 특히 충숙왕 10년(1323)에 고려 재상인 류청신(柳淸臣)과 오잠(吳潛)이 주도한 입성책동은 원에서 그 이해득실을 신중하게 검토하는 심각한 사태에 이르렀었다. 이러한 입성책동은 공민왕이 입원(入元) 숙위중(宿衛中)이던 충혜왕 후 4년(1343)에도 기철(奇徹) 등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 高柄翊,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歷史學報』14ㆍ19

고려사회의 모순은 오랜 기간에 걸쳐 누적된 것이지만, 특히 충혜왕대(忠惠王代)의 실정(失政) 이후 격심해진 정치기강의 문란과 사회경제적 피폐상은 극에 달하여 당시의 형세를 ‘국지불국(國之不國)’, 즉 엄연히 국가의 형태를 지니면서도 국가의 꼴이 아닌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高麗史』券109 列傳 22 李穀傳
이러한 상태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이 忠穆王代에 정치도감(整治都監)의 설치를 통한 개혁활동으로 구현된 바 있으나 그것이 당시 고려사회의 모순과 혼란 야기의 주체를 원과 연관되는 기관(機關)이나 인물로 파악하여 부
참고문헌
閔賢九 &政治家로서의 恭愍王&『亞細亞硏究』100號,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1998
閔賢九, 高麗 恭愍王의 反元的 改革政治에 대한 一考察; 背景과 發端 『震檀學報』68, 震檀學會, 1989
閔賢九, 高麗 恭愍王代 反元的 改革政治의 展開過程『韓國史學論叢』,택와허선도선생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간행위원회, 일조각, 1992
閔賢九,「辛旽의 執權과 그 政治的 性格(上)」『歷史學報』38, 1968
閔賢九,「辛旽의 執權과 그 政治的 性格(下)」『歷史學報』38, 1968
李亨雨, 高麗 恭愍王代의 政治的 推移와 武將勢力『軍史』39호, 國防軍史硏究所, 1999
金惠苑, 高麗 恭愍王代 對外政策과 漢人群雄『白山學報』1호, 白山學會, 1998
高柄翊, 「麗代 征東行省의 硏究」,『歷史學報』14ㆍ19, 歷史學會, 1961
金塘擇, 麗 恭愍王初의 武將勢力『韓國史硏究』, 韓國史硏究會, 1996
閔賢九, 『高麗政治史論: 統一國家의 확립과 獨立王國의 시련』,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張東翼, 『高麗後期外交史硏究』, 일조각, 199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20, 국사편찬위원회, 199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