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

 1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1
 2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2
 3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3
 4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4
 5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5
 6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6
 7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행주대첩][행주대첩과 권율 장군][행주대첩과 임진왜란][행주대첩과 행주산성][행주대첩과 행주치마][권율 장군]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행주대첩과 권율 장군

Ⅲ. 행주대첩과 임진왜란

Ⅳ. 행주대첩과 행주산성

Ⅴ. 행주대첩과 행주치마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조선 전기의 중앙 군제(軍制). 1393년(태조 2) 태조는 고려 때의 삼군총제부(三軍摠制府)를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하여 여기에 종래의 10위군(衛軍)을 중․좌․우군의 3군으로 나누어 귀속시켜 최초의 강력한 중앙군사체제를 갖추었다. 그 후 3군에 속한 10위는 10사(司)로 개편되어 12사로 되었다가 1451년(문종 1) 5사로 다시 개편되었고, 57년(세조 3) 3월 5위제도로 개편하여 이 때까지 의흥삼군부를 대신해서 3군을 통제해오던 3군진무소(三軍鎭撫所)를 5위진무소로 개편하여 5위를 지휘 감독하는 최고 군령기관(軍令機關)으로 하였다. 그 후 5위진무소는 66년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하여 중위(中衛)인 의흥위(義興衛), 좌위(左衛)인 용양위(龍A衛), 우위(右衛)인 호분위(虎賁衛), 전위(前衛)인 충좌위(忠佐衛), 후위(後衛)인 충무위(忠武衛) 등 5위를 관장하였다. 5위에는 장(將:종2품, 타관이 겸임) 12명, 상호군(上護軍:정3품) 9명, 대호군(大護軍:종3품) 14명, 호군(護軍:정4품) 12명, 부호군(副護軍:종4품) 54명, 사직(司直:정5품) 14명, 부사직(副司直:종5품) 125명, 사과(司果:정6품) 15명, 부장(部將:종6품) 25명, 부사과(副司果:종6품) 176명, 사정(司正:정7품) 5명, 부사정(副司正:종7품) 309명, 사맹(司猛:정8품) 16명, 부사맹(副司猛:종8품) 483명, 사용(司勇:정9품) 42명, 부사용(副司勇:종9품) 1,939명을 두었다. 5위의 구성을 보면 각 위(衛)에 중(中)․좌(左)․우(右)․전(前)․후(後)의 5부(部)가 있어 모두 25부가 되고, 각 부에 4통(統)이 있어 1위에 20통, 5위에 100통이 있었다.
참고문헌
◎ 김태원(2011), 우리에게 행주산성은 무엇인가?, 국회도서관
◎ 국방군사연구소(1996), 행주대첩의 명장 권율 장군, 국방부
◎ 이창록(1984), 행주대첩과 적성리 개가, 대한민국국회
◎ 조기화(2005), 임진왜란·정유재란, 의병들의 활약 4 : 행주대첩,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 한국향토사(1977), 국난을 이겨낸 민족의 슬기, 행주산성대첩, 한국향토보사
◎ 홍옥진(2006), 지역의 관점에 선 행주대첩의 학습지도 방안, 공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