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절도에 관한 형법

 1  [법]절도에 관한 형법-1
 2  [법]절도에 관한 형법-2
 3  [법]절도에 관한 형법-3
 4  [법]절도에 관한 형법-4
 5  [법]절도에 관한 형법-5
 6  [법]절도에 관한 형법-6
 7  [법]절도에 관한 형법-7
 8  [법]절도에 관한 형법-8
 9  [법]절도에 관한 형법-9
 10  [법]절도에 관한 형법-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4.12.15
  • 10페이지 / hwp
  • 700원
  • 21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법]절도에 관한 형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 본론
1. 절도죄의 의의와 성격
2. 기본적 구성요건: 절도죄(제329조)
3. 가중적 구성요건

**결론
본문내용
소유권설 절도죄의 보호법익은 소유권으로 파악한다. 점유(권)는 행위의 객체로서 보호의 객체인 소유권과는 구별해야 한다고 한다. 형법은 절도죄의 객체를 `타인이 점유하는 재물`이라 하지 않고 `타인의 재물`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점유를 보호로 하는 독립된 구성요건(권리행사방해죄, 공무상 보관물 무효죄 등)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절도죄의 보호법익은 타인의 소유권이라고 해석한다.

보호의 정도와 관련하여 위험범으로 파악하는 태도와 침해범으로 이해하는 태도가 있다. 위험범으로 보는 입장은 절도에 의하여 재물의 소유자가 민법상 소유권을 상실하는 것은 아니고, 절도죄는 절취만 있으면 완성되는 것이며 소유권의 내용이 침해되어야 기수에 이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근거로 한다. 이에 반하여 침해범의 견해는 절도죄에 있어서 점유의 침탈에 의하여 소유권의 내용인 사용․수익․처분이 방해되면 소유권도 사실상 침해되었다는 점을 이유로 하고 있다.

점유권설 절도죄의 보호법익은 점유라고 한다. 형법이 절도죄의 객체를 `타인의 소유물`이라고 규정하지 않고, `타인의 재물`이라고 규정한 것은 그 객체가 소유물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이유에서 절도죄의 보호법익을 단순한 점유 또는 소지 그 자체라고 보는 견해이다. 절취는 다른 사람의 점유에 대한 침해를 그 내용으로 한다고 보기 때문에 보호의 정도는 침해범이 된다. 절도죄의 성립에 있어서 불법영득의 의사가 필요하지 않다는 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