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

 1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1
 2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2
 3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3
 4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4
 5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5
 6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6
 7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7
 8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8
 9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커뮤니케이션] 사이버공간과 정치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 정치환경의 변화

오늘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인터넷의 발전은 공공생활의 전통적인 개념과 판이하게 다른 새로운 종류의 공공성(publicness)을 창출하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을 통해서 형성되는 매개된 공공성은 특정한 공간적-시간적 장소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비(非)장소화된 공간이라는 특성을 가지며, 특히 이 공공성은 매개물의 내용이 전적으로 미리 제한될 수 없다는 점에서 개방적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속성은 정보의 흐름에 변화를 가져오며, 정치과정의 변화 또한 초래하는 동인이 되고 있다. 정치학자들은 이를 전자민주주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전자민주주의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개별적․집단적으로 주요 정치적․정책적 이슈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의견을 제시함으로 시민의 정치참여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직접적․참여적인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화 시대의 민주주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치구조의 변화는 주권자인 국민들이 기존의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 어느 정도 직접 참여가 가능한 참여민주주의적인 정치환경을 가짐으로써 가능하다. 오늘날 많은 네티즌들은 인터넷의 전자 게시판이나 대화방 등을 통해 특정 정치 현안이나 정책 사안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과 집단적 의견, 즉 여론을 형성하고 이를 정부나 국회 등 관련기관에 전달하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기존의 '시민사회(input) → 정당 → 입법부 → 행정부 → 결과(output)'라는 단선적인 정치과정과는 달리, '시민사회 → 정당'은 물론, '시민사회 → 입법부', '시민사회 → 행정부'로의 직접적인 의견전달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치과정의 변화는 불가피한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인, 이현우, 이원태. 2002. “정보화와 한국인의 의식변화: 네티즌의 동호회 활동을 중심 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김용철, 윤성이. 2000. “인터넷과 선거운동: 16대 총선 후보자의 인터넷 활용 및 네티즌의 참여 실태 분석.” .
윤성이. 2001. “인터넷 혁명과 시민운동의 새로운 전개”. 한국정치학회, 김영래 엮음. 『정보사회와 정치』,
이종회. 2003. “인터넷 시대 진보의 가치와 행동양식”. 『황해문화 』여름호, pp. 42-56.
이현우. 2002. “인터넷과 사회자본의 강화를 통한 선거참여: 미국 2000년 대선의 경우”. 『한국정치학회보』 36집 3호,
이현우. 2001. “인터넷 투표와 대표성의 문제: 2000년 애리조나 민주당 예비선거”. 『한국 정치학회보』 35집 3호,
임혁백. 2001. "정보화사회의 민주주의: 한국 정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정치학회, 김영래 엮음. 『정보사회와 정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