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

 1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
 2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2
 3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3
 4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4
 5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5
 6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6
 7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7
 8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8
 9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9
 10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0
 11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1
 12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2
 13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3
 14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4
 15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5
 16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6
 17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7
 18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8
 19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19
 20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과 남한의 대우법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남한의 대우법

3. 북한의 대우법
3.1. 높임법
3.1.1. 듣는 사람
3.1.1.1. 문법
3.1.1.2. 어휘(인칭대명사/부름말)
3.1.1.3. 말법을 바꿈
3.1.2. 이야기에 오른 사람
3.1.2.1. 문법
3.1.2.2. 어휘
3.1.2.3. 성구와 속담
3.1.3. 최고 통치자에 대한 언어 예절
3.2. 낮추는 표현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자신만의 언어와 문자를 가진 나라는 드물 뿐더러 한 나라에서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 또한 드물다. 이렇게 드문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우리나라는 분단으로 인해 남북 언어가 이질적으로 변해가고 있어 우려를 낳는다.
언어는 변한다. 훔볼트가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언중의 세계관을 반영한다.’라고 말했던 것처럼 언어는 한 민족의 역사이다. 한 민족의 언어로서 동질성에 있어 큰 차이가 없던 남과 북의 언어는 분단 이후 60여 년이 지난 지금 형태, 어휘, 발음, 화법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를 보인다. 이는 남과 북의 언어정책의 차이에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즉 남한이 말의 자율적 흐름을 중요시하는 관용적 정책을 택한 반면에 북한은 주체사상을 언어에 유착시키는 인위적이고 처방적인 정책을 실시했다.
2000년 6월 15일 남북공동선언문이 나온 이후 남과 북은 많은 교류가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북한의 언어를 직접 마주하기는 어렵다. 보통의 비전문인이라면 가끔 방송되는 남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접할 수 있을 뿐이다.
이 보고서는 남한과 북한의 언어가 시대가 변화하면서 달라졌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남한의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북한의 언어의 두드러진 차이를 대상으로 한다.

2. 남한의 대우법

대우법(對偶法)이란 화자가 언어 내용을 전달할 때 청자나 문장에 등장하는 주체 및 객체에 대하여 화자와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말씨를 선택하는 문법적 장치를 이른다. 즉, 화자가 대상과의 높낮이 관계나, 친소 관계, 상하 요인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대우하는 언어 표현이 대우법인 것이다. 대우법은 경어법(敬語法), 존대법(尊待法), 존경법(尊敬法), 높임법 또는 존비법(尊卑法) 등으로도 지칭된다.
참고문헌
강은국, 『남북한의 문법 연구』, 박이정, 2008
이옥련 외, 『남북한 언어 연구』, 박이정, 1997
이정복, 「남북한 정상에 대한 언론의 경어법 사용 분석」, 2002
이화연, 「문화어의 경어법 연구」, 안동대 교육대학원, 2004
전수태·최호철,『남북한 언어 비교』, 녹진, 1989
조오현 외, 『남북한 언어의 이해』, 역락, 2002
최재희,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2004
한영목, 『우리말 문법의 양상』, 역락, 2004
하치근, 『남북한 문법 비교 연구』, 한국문화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