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

 1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1
 2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2
 3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3
 4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4
 5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5
 6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6
 7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7
 8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8
 9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9
 10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10
 11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11
 12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12
 13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13
 14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14
 15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나라 교사교육제도 문제점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본론1
1. 한국 교사교육제도의 최근 동향
1) 교사교육의 전문화
2) 교사교육의 현장 중심성
3) 교사교육의 다양화
2. 한국과 미국의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1) 한국
2)미국

Ⅲ.본론2
1.교사교육과정의 문제점
1) 교육실습의 형식적 운영
2) 교원자격증의 남발
3) 교사양성기관의 질 관리 미흡
4) 교원 수급 불균형
5) 미흡한 교원 유인체제
6) 특색 없는 교원양성 교육

2.교사임용정책의 문제점
1) 사범대학과 일반 대학 교직과정과의 차별성 상실
2) 임용고사에 따른 부정적 효과 초래

3.교사제도의 문제점 및 기타
1) 교사의 교수 능력에 대한 평가 시스템 미비
2)교사의 낮은 자기효능감과 만족감

Ⅳ.나가며
1.토론
본문내용
Ⅰ.들어가며

“선호도 1위의 영광스러운 직업 교사”
이와 같은 말은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매년 각 지자체의 공립학교에서 근무하게 될 신임 교사를 뽑는 교원임용고시의 경쟁률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사립학교의 채용 공고에도 수많은 인재들이 몰린다. 심지어 비정규직 기간제 교사 자리도 금세 채워진다. 이는 교사를 희망하는 젊은이들이 사범대학과 교원대학을 비롯해 여러 교육 대학원에 몰리거나 각 대학에 설치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데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그렇게 교직을 선호하는가? 우선 교사가 되고 싶어 하는 이유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교직의 직업성과 현실적 혜택의 매력이다. 둘째, 자신의 적성이나 재능과 잘 맞는다는 믿음이다. 셋째, 교직 더 나아가 교사에 대한 사명감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교직의 현실적 조건이 교직선호도와 가장 결부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이 비단 사회에 나갈 준비 중인 우리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2011년 5월, 어린이들이 가장 희망하는 장래 직업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공무원이라고 응답한 어린이들이 11%에 이르렀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교사를 선호하는 인식이 이와 같게 된 원인은 대기업도 평생 고용을 보장해주지 못하고 사십 대면 퇴직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이 시대의 불안한 고용 현실에 있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사회에 나갈 준비 중인 성인들에게 ‘직업적 안정성’은 직업 선택 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요소 중 하나가 되었고, 이것이 ‘철밥통’이라 불리는 공무원의 인기로 이어진 것이다. 교직은 공무원 중에서도 대표적인 안정직종이다. 한번 채용되면 해고될 일이 거의 없고, 복리후생제도가 잘 되어 있으며, 연한이 보장된 정년 이후에는 연금 혜택이 기다리고 있다. 구직난에 시달리는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겐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이렇듯 인기가도를 달리는 교직이니만큼 요즘 신규교사들 중 교육대학을 나온 교사들은 고교 시절 최소 상위 10%에 들던 우수인재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인재들이 교육대학을 지원하고 체계적인 양성 교육을 거쳐 자질과 소양을 쌓은 후 교직에 입문해 그들의 역량을 맘껏 발휘할 준비를 한다. 그런데 우수 인재들이 마주 대하는 학교라는 현장은 대학에서 이론이나 책으로 대하던 것과는 너무나도 다르다. 이것이 비단 학교만의 문제일까. 최고의 인기 직종인 교원의 임용과정에는 그 경쟁률에 걸맞은 우수한 인재들이 모이고 있고, 그들은 그간 거쳐 온 학교 시스템 안에서 대체로 높은 성취도를 보인 소위 ‘모범생’들이다. 그들은 대학의 양성과정에서 자신의 교과목에 대한 전문지식을 열심히 축적해 교사 자격증을 따고 임용고시를 통과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 그렇지만 교과서 속 이론은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로서 가져야 할 품성과 자질을 가르쳐 주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서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직면하는 여러 문제들의 원인을 교원 양성과 임용을 비롯한 교사를 채용하는 제도상의 문제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연, 『효율적인 교사양성을 위한 한국과 외국의 중등교사교육제도 비교 분석연구』, 2004
김종생, 『한국의 교사양성 및 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5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교사론』, 교육과학사, 2006
한석훈, 『선생이란 무엇인가 : 루소·퇴계·공자·융에게 교육의 길을 묻다』, 한언, 2012
교권경시 현상에 대한 인식 연구,장영란,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교권침해를 둘러싼 법적 쟁점 분석과 교권 보호 방안, 한정수,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http://www.kice.re.kr/contents.do?contentsNo=74&menuNo=28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teaching.hanyang.ac.kr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사범대학 교직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