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

 1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1
 2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2
 3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3
 4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4
 5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5
 6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6
 7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7
 8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8
 9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9
 10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10
 11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11
 12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12
 13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중세 사동법
(1) 사동법
1. 어휘적 사동법
2. 파생적 사동법
3. 통사적 사동법
Ⅲ. 중세 피동법
(1) 피동법
1. 어휘적 피동법
2. 파생적 피동법
3. 통사적 피동법
Ⅳ. 피동과 사동의 변화
Ⅴ.나가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현대국어에서 사동법과 피동법이 있는 것처럼 중세국어에서도 사동법과 피동법이 존재했다. 이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을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 사동과 피동의 개념을 정리해 보겠다. 사동법과 피동법은 기본적으로 동사 자체로 그 의미를 가지는 경우와, 파생접미사에 의한 파생, 두 형태적 구성이 통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각각을 어휘적, 파생적, 통사적 사동법, 피동법이라 부르고 이 기준을 근거로 하여 중세국어의 사동법과 피동법이 어떻게 실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중세 사동법

(1) 사동법
먼저 사동의 개념을 살펴보자. 사동이란 어떤 시키는자(사동행위자)가 어떤 시킴을 받는 자(사동피행위자)에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여 어떤 결과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원인과 결과 라는 두 개의 상황을 하나의 복합 상황으로 보고 하나의 문장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사동을 실현하는 문법 범주를 사동법이라 한다.
기본적인 사동법의 실현은 파생적 방법과 통사적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드물게 어휘적으로 사동이 실현되는 경우가 있다.
참고문헌
安秉禧·李珖鎬, 『中世國語文法論』, 學硏社, 1990.
김형배, 『국어의 사동사 연구』, 박이정, 1997.
허웅, 『우리 옛말본』, 샘 문화사, 1975.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7.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998.
우인혜, 『우리말 피동 연구』, 한국문화사, 1997.
국립국어연구원,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1-중세국어-』, 1996.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