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

 1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1
 2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2
 3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3
 4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4
 5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5
 6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6
 7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7
 8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8
 9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9
 10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수학습이론] 창의성의 세측면모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창의성의 본질
Ⅱ. 창의성의 인지적 측면
본문내용
Ⅰ. 창의성의 본질

무엇이 창의성인가?
소수의 심리적 복합개념은 정의하기 더 어렵다고 증명되었다. 때때로 창의성은 산출물이라는 용어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통계적으로 특별하고 또한 높은 특성으로 생각하는 산출물이다(Perkins,1981).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창의적인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서는 거의 말해주지 않는다. 잘 이해되지 않는 현상을 연구할 때, 때로는 주어진 현상에 관한 사람들의 암시 이론들- 혹은 개념들- 에 대한 연구로 시작하는 것이 도움을 준다. 이것은 우리가 했던 지능의 연구(Sternberg, Conway, Keron, Bernstein,1981)와 최근에 지능(intelligence), 지식(wisdom), 창의성(creativity)과 그들 사이의 상호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좀 더 적용했던 방향이다.(Sternberg, 1985b). 이런 연구를 통해 무엇이 사람들을 창의적으로 되게 하는 지와 지능과 지식과 창의성을 구분해서 보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런 연구가 “창의성이 정말로 무엇인지” 우리에게 말해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현상들의 경계만큼 현상들의 핵심을 정의하는 출발 역할을 한다.

1. 창의성(creativity), 지능(intelligence) 그리고 지식(wisdom)의 상호관계

다양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그룹의 사람이 지능, 지식, 창의성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지와 관련해서, 사람들이 얼마나 가까이 관련이 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상호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이 상호관련에서 세 가지의 특별한 관심의 연구결과가 나타났다(Sternberg, 1985b).
첫째, 일반적으로 지능과 지식은 가장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지능과 창의성이 그 다음으로 관련이 있고, 지식과 창의성은 가장 적은 관련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패턴에서 유일한 예외는 지능과 지식보다 지능과 창의성이 훨씬 높게 관련된 철학자들이었다.
둘째, 모든 상호관계는 명확했고, 그 의미는 주어진 특질의 많은 양보다 서로 다른 특질의 훨씬 많은 양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에 한가지 예외가 있었다. 경영학교수들은 더 작은 양의 창의성과 관련되었을 때 더 많은 양의 지식을 보였다. 다시 말해, 경영학에서는 더 현명할수록 덜 창조적이고, 반대로 덜 현명할수록 더 창의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