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

 1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
 2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2
 3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3
 4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4
 5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5
 6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6
 7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7
 8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8
 9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9
 10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0
 11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1
 12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2
 13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3
 14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4
 15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5
 16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6
 17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7
 18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8
 19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19
 20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第二十三回 納直言超遷張佚 信讖文怒斥桓譚
제이십삼회 납직언초천장일 신참문노척환담
第二十四回 幸津門哭兄全孝友 圖雲臺爲後避勳親
제이십사회 행진문곡형전효문 도운대위후피훈친
본문내용
却說北匈奴一再求和, 公卿等聚議紛紛, 尙難解決。
각설북흉노일재구화 공경등취의분분 상난해결
각설하고 북흉노는 다시 화친을 구하니 공경등은 모아 논의를 어지럽게 하나 아직 해결하기 어려웠다.
獨司徒?班彪, 陳述己見, 請光武帝暫與修和, ?爲草擬詔書, 大略如下:
독사도연반표 진술기견 청광무제잠여수화 병여초의조서 대략여하
草擬[c?on?]①초고를 쓰다 ②기초하다 ③기초 설계하다 
유독 사도연 반표는 자기 견해를 진술하여 광무제는 잠시 화친을 하며 조서를 초고를 쓰자고 청하니 대략 아래와 같다.

臣聞孝宣皇帝?邊守尉曰:“匈奴大國, 多變詐, 交接得其情, 則却敵折衝;應對失其宜, 則反爲所欺。”
신문효선황제칙변수위왈 흉노대국 다변사 교접득기정 즉각적절충 응대실기의 즉반위소기
?? [bi?nzh?]거짓말로 속이다
交接 [ji?oji?] ① 잇닿다 ② 인계인수하다 ③ 교체하다
신이 듣기로 효선황제는 변경을 지키는 장수에게 칙서를 내렸다고 합니다. “흉노 대국은 거짓말로 속임이 많아 그 정황을 접하면 적과 절충을 물리쳤습니다. 응당 마땅함을 잃어서 반대로 속임을 당했다고 합니다.
今北匈奴見南單于來附, 懼謀其國, 故屢乞和親;
금북흉노견남선우래부 구모기국 고루걸화친
지금 북흉노는 남선우가 와서 붙음을 보고 자기 나라를 도모할까 두려우므로 자주 화친을 애걸했습니다.
又遠驅牛馬, 與漢合市, 重遣名王, 多所貢獻, 斯皆外示富强, 以相欺誕也。
우원구우마 여한합시 중견명왕 다소공헌 사개외시부강 이상기탄야
또 멀리 소와 말을 몰아와 한나라와 시장을 합치고 거듭 명성이 있는 왕을 보내 바침이 많으니 이는 모두 외부로 부강함을 보이며 서로 속임입니다.
臣見其貢益重, 其國益虛;求和愈數, 爲懼愈多。
신견기공익중 기국익허 구화유삭 위구유다
신하는 공물이 더욱 많아지고 나라가 더욱 허해집니다. 화친을 구하길 더욱 자주해서 두려움이 더욱 많아집니다.
然今旣未獲助南, 則亦不宜?北, 羈?之義, 理無不答。
연금기미획조남 즉역불의절북 기미지의 이무부답
?? [j?m?]①속박하다 ②농락하다 ③구금하다
그러나 지금 이미 아직 남선우를 돕지 않고 또 북선우와 절교가 마땅하지 않으니 뜻은 속박의 뜻에 이치는 대답해야만 합니다.
謂可頗加賞賜, 略與所獻相當, 明加曉告以前世呼韓邪, ?支行事。
위가파가상사 략여소헌상당 명가효고이전세호한사 질지행사
?(고을 이름, 이르다 질; ?-총9획; zh?)
xi?o g?o ???ˇ ??? ?告:告知;??① 효유하다 ② 효시하다
상으로 더 하사하며 대략 바침이 해당하니 분명히 전세의 호한사와 질지에게 행사함을 효시해야 합니다.
報答之辭, 必求適當, 今立稿草?上曰:(下文是代詔書口吻。)
보답지사 필구적당 금립고초병상왈 하문시대조서구문
口吻 [k?uw?n] ① 주둥이 부분 ② 말투 ③ 어조
보답의 말은 반드시 적당함을 구해야 하니 지금 초고를 세워 써야 합니다. 아래 문장은 조서 의 말투를 대신함이다.
“單于不忘漢恩, 追念先祖舊約, 欲修和親, 以輔身安國, 計議甚高, 爲單于嘉之!
선우불망한은 추념선조구약 욕수화친 이보신안국 계의심고 위선우가지
선우는 한나라 은혜를 잊지 않고 선조의 예전 약속을 추억하여 화친을 닦으려고 하며 몸으로 국가를 편안하게 보완하며 계책논의가 매우 높아 선우를 위해 가상하게 여긴다!
往者匈奴數有乖亂, 呼韓邪, ?支, 自相仇隙, ?蒙孝宣帝垂恩救護, 故各遣侍子, 稱藩保塞。
왕자흉노수유괴란 호한사 질지 자상구극 병몽효선제수은구호 고각견시자 칭번보새
乖亂:理致에 어그러져서 어지러움
仇隙 [ch?ux?] ① 원한 ② 원한으로 인하여 벌어진 틈 ③ 서로 원수와 같이 어긋난 사이
지난번 흉노가 자주 어지럽게 하며 호한사 질지는 서로 원한의 틈이 생겨 효선제가 은혜로 구호하므로 각자 모실 아들을 보내서 변방을 보호하는 울타리가 된다고 했다.
其後?支忿戾, 自?皇澤;而呼韓附親, 忠孝彌著。
기후질지분려 자절황택 이호한부친 충효미저
忿戾 : 매우 화가 난 상태
?:更加;著:明?
뒤에 질려가 매우 분노하여 스스로 황제 은택을 끊었다. 호한사는 친하게 붙어서 충성과 효도가 더욱 드러났다.
及漢滅?支, 遂保國傳嗣, 子孫相繼。
급한멸질지 수보국전사 자손상계
한나라가 질지를 없애니 곧 나라를 보존하고 대를 이어 전해 자손이 서로 이어졌다.
今南單于?衆向南, 款塞歸命, 自以呼韓嫡長, 次第當立, 而侵奪失職, 猜疑相背, 數請兵將, 歸掃北庭, 策謀紛?, 無所不至。
금남선우휴중향남 관색귀명 자이호한적장 차제당립 이침탈실직 시의상배 수청병장 귀소북정 책모분운 무소부지
猜疑 [c?iy?] ① 의심 ② 의심하다 ③ 의구심을 갖다
策? [c?m?u]계획하다
지금 남선우는 대중을 이끌고 남쪽을 향하여 변방에서 어명에 귀순하려고 하니 스스로 호한이 적장자이고 다음에 응당 즉위해야 한다고 하며 직책 잃음을 침탈당해 의심으로 배신하며 자주 병사와 장수를 청해 북쪽에 돌아가 소탕해야 한다는 논의가 어지러워 이르지 않는 곳이 없었다.
惟念斯言不可獨聽, 又以北單于比年貢獻, 欲修和親, 故拒而未許, 將以成單于忠孝之義。
유념사언불가독청 우이북선우비년공헌 욕수화친 고거이미허 장이성선우충효지의
比年 [b?ni?n] ① 근년 ② 매년
이 말을 홀로 듣지 않고 또 북선우는 근년에 공물을 바치니 화친을 하려고 하나 거절하고 허락하지 않고 장차 선우가 충성 효도하는 뜻을 이루어주게 했다.
漢秉威信, 總率萬國, 日月所照, 皆爲臣妾, 殊俗百蠻, 義無親疏, 服順者褒賞, 叛逆者誅罰, 善惡之效, 呼韓邪, ?支是也。
참고문헌
중국역조통속연의 중 후한통속연의, 채동번, 중국 삼진 출판사 128-138페이지
하고 싶은 말
후한통속연의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