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

 1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
 2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2
 3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3
 4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4
 5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5
 6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6
 7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7
 8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8
 9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9
 10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0
 11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1
 12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2
 13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3
 14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4
 15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5
 16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6
 17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7
 18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8
 19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19
 20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신보건복지]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신분석이론
1. 정신분석이론
1) 인간에 대한 관점
2) 심리적 문제의 발생과정
3) 정신적 갈등과 방어
4) 정신분석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Ⅱ 미술치료의 개념과 정신분석치료 모형
1. 미술치료의 개념과 견해
1) 미술치료의 개념
2) 미술치료의 대표적 견해
3) 정신분석적 미술치료 모형

Ⅲ 미술치료의 장점과 적용
1. 미술치료의 장점
2. 미술치료의 적용

Ⅳ 미술치료 기법
1. 그림에 의한 심리진단의 기법
2. 미술치료에서의 저항과 기법의 적용
3. 집단미술치료
4. 미술치료의 기법

Ⅴ 미술치료에서의 정신ㆍ분석심리 접근법
1. 정신분석접근과 분석심리학적 접근의 개관
1) 정신분석적 관점
2) 분석심리학적 관점
2. 미술치료와 심리치료 접근법
3. 정신ㆍ분석심리학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

Ⅵ 정신분석적 접근에 의한 미술치료 사례분석
[감정이입과 충동 통제에 의한 반항성 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Ⅶ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Ⅰ. 정신분석이론
1. 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 이론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의해 창시되었다. 그가 ‘정신분석(psychoanalsis)'이란 용어를 처음으로 쓴 것이 1896년이었는데 학자들은 이 시기를 정신분석의 공식적인 출발점으로 삼는다. 정신분석은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철학적 접근으로서, 그리고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치유하는 유력한 상담의 방법으로서 확고하게 닦고 왔다.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 출생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내담자가 걸어온 거의 모든 삶의 과정들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정신분석적 상담은 ’뿌리 치료‘라 불리기도 한다. 겉으로 드러나 누렇게 뜬 잎사귀보다는 그러한 불량한 잎사귀를 만들어내 뿌리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것, 즉 외현적인 심리적 문제보다는 그러한 문제를 초래케 한 근본적 원인을 찾아서 해소하는 것, 그것이 정신분석적 상담의 목표인 것이다.

1) 인간에 대한 기본 관점

⑴ 정신적 결정론

프로이트는 당연한 이치로부터 ‘원인이 멈추면 결과도 멈춘다.’라는 명제를 발전시켜 나갔다. 사람들의 감정과 행동은 아무런 이유 없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원인이 작용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프로이트는 아무런 원인도 가지지 않는, 즉 저절로 발생하는 현상이란 없다. 그 어떤 힘(즉, 원인)이 작용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기쁘고, 슬프고, 괴롭고, 분노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결정하는 것은 외적인 환경적 조건이 아니라 내적인 그 무엇이라는 것이다. 즉, 사람들을 웃게도 하고, 울게도 만드는 것은 사람들 마음속에 존재하는 정신적 과정인 것이다. 이를 정신적 결정론(psychic determinism)이라한다.

⑵ 무의식

무의식이란 사람들이 한 때는 생생히 알고 있었지만 그 어떤 사연으로 인해 망각해버린 것들이 모두 모여 있는 기억의 저장고이다. 무의식이라는 기억의 저장고에 차곡차곡 쌓여있는 것들은 사람들의 마음이 차라리 의식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고 결정한 것들이다. (물론 이러한 결정 역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사람들이 ‘없애’버리고자 했던 기억들은 결코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그러한 기억들은 무의식의 저장고 속에서 사람들의 마음의 방어가 약해지기만을 기다린다.
무의식의 저장고에 고이 있어야 할 고통스런 기억들이 마음의 방어력이 약해진 틈을 타고 의식 상태로 올라오려 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증상이 형성된다. 이런 의미에서 심리적 증상은 무의식의 활동 결과이다. 정신분석은 무의식에 대한 건강한 깨달음
참고문헌
한국미술치료학회(2000),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아문화사.
신민섭외(2002),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학지사.
김동연ㆍ정현희(2002),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에 의한 심리진단과 치료’, 대구대학교출판부
로버트 번스 저, 김상식 역(2001),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하나의학사.
김동연ㆍ공마리아ㆍ최외선 편저(2002), ‘HTP와 KHTP 심리진단버’. 동아문화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