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시가의 특징

 1  개화기시가의 특징-1
 2  개화기시가의 특징-2
 3  개화기시가의 특징-3
 4  개화기시가의 특징-4
 5  개화기시가의 특징-5
 6  개화기시가의 특징-6
 7  개화기시가의 특징-7
 8  개화기시가의 특징-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개화기시가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開化期詩歌~들어가며

2. 開化期詩歌의 과도기적 성격

3. 開化歌辭

4. 唱歌

5. 新體詩
본문내용
이 작품은 「독립신문」3호에 게재된 것으로 개화기 시가 가운데도 초창기에 속하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가 이 작품을 개화기 시가의 효시로 보고자 하는 까닭은 우선 이 작품은 종래 우리 주변의 고전 시가나 시조와는 다른 모양-신문 매체-으로 발표되었다. 또한 이 작품은 의식에 있어서도 ‘自主獨立’, ‘文明之化’등의 어휘를 사용하고 있는 점이다. 개화기 시가의 하한선은 상당히 뒤늦은 시기로 잡혀진다. 정치사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의 개화기는 1910년에 그 막이 내린다. 이 해에 한반도는 일제에 의해 완전 강점되었다. 그러나 이 엄청난 정치적 지각변동에도 불구하고 개화기의 시가들은 1910년을 일기로 그 막을 내리지는 않았다. 구체적으로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그 뒤에 발간된 「아이들보이」, 「새별」, 「靑春」등 잡지에 계속 게재, 발표되었다. 그리하여 그 하한선은 1910년대 말경에까지 이른다.
개화기 시가의 대표적 형식으로 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920년을 전후하여 등장한 근대시 이전의 시가 유형으로 한국 근대시사의 전초적 단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CF.異見 ▶ 종래 우리 주변에서 나온 이 분야의 업적에는 개화기 시가의 분류가 조금씩 달리 이루어졌다. 개화 가사와 창가가 미분화 상태에서 거론되는가 하면, 개화가사의 테두리에서 의병의 倡義歌와 漢詩, 口傳民謠까지가 포함된 예도 있다. 그러나 개화가사외 창가는 그 형태부터가 판이하게 다르다. 그리고, 개화기 시가란 그 개념이 근대시와 함수관계를 성립시키는 작품들인데 비해 漢詩는 전근대적 표현 매체로 개화가사의 범주에 넣는 것은 온당하지 못하며 구전가요 역시 공동 제작에 속하는 것들로써 개인 제작을 전제로 하는 근대시의 요건에 부합되지 않는다.
다음 개화기 시가의 양식 전개는 개화 가사→창가→신체시의 순서로 보아야 한다. 신체시를 개화기 시가에서 마지막 양식으로 잡는 것은 異論을 제기할 여지가 없으나 개화가사와 창가의 서열 결정에는 많은 논란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발표시기와 관련한 서열 결정에 따른 혼돈이며 두 양식의 형태와 기법에 있어서 어느 정도 차이점을 지닌다.
참고문헌
한국근대시사(上), 김용직, 학연사.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김학동, 시문학사.
한국 문학사, 김윤식․김현,
신문학사조사, 백철, 신구문화사.
개화기 시가론, 임종찬, 국학 자료원.
한국 시가 문학사(下), 송민호, 고려민족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