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

 1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1
 2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2
 3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3
 4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4
 5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5
 6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6
 7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7
 8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현대사] 북한학계의 근대 시기구분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1960년대 중반까지의 시기구분 논쟁
1) 논쟁의 배경과 경과
① 계급투쟁설
② 사회경제설
2) 논쟁의 결론
3. 주체사상과 시기구분의 변화
1) 주체사상의 전면적 체계화 과정
2) 주체사관에 의한 시기구분의 변화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은 사회주의 건설과정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정치․사상적 변화를 직접 반영하면서 전개되었다. 특히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치와 학문이 밀접한 상호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북한에서의 역사학 연구는 이러한 정치․사상적 변화에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시기구분 역시 이러한 상호관련 하에서 연구되어졌다. 북한에서 진행된 근대사(1860년대-1945년)에 대한 시기구분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57년에서 62년까지 5년여 진행된 ‘근세사 시기구분 논쟁’이며, 제2기는 60년대 말에서 80년대 초까지로 주체사상의 전면적 체계화가 과정을 거치면서 제1기의 합의가 다시 변화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본 발표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북한 역사학계에서 연구된 우리의 근대사, 구체적으로 1860년대부터 1945년까지를 어떻게 시기구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1960년대 중반까지의 시기구분 논쟁
1) 논쟁의 배경과 경과
해방 이후 북한학계에서의 역사연구는 남한 보다 비교적 일찍 시작되었다. 해방 된지 2년 만인 1947년에 조선력사편찬위원회가 조직되어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런 역사연구 기관의 설립은 연구의 촉진제 구실을 하였다. 이후 역사연구는 사회주의 건설과업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진행되었으며, 정치적․사상적 변화를 직접 반영하면서 전개되었다.
참고문헌
1) 單行本
姜仁求․李成美 外 共著, ꡔ北韓의 韓國學 硏究成果 分析 -歷史․藝術篇-ꡕ,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1.
안병우․도진순 편, ꡔ북한의 한국사인식ꡕ Ⅰ, 한길사, 1990.
안병우․도진순 편, ꡔ북한의 한국사인식ꡕ Ⅱ, 한길사, 1990.
趙東杰, ꡔ現代 韓國史學史ꡕ, 나남출판, 1998.
車河淳 외, ꡔ韓國史 時代區分論ꡕ, 소화, 2000.
2) 論 文
金敬泰, 「韓國近代史의 起點과 時期區分問題」, ꡔ國史館論叢ꡕ 50輯, 國史編纂委員會, 1993.
金興洙, 「ꡔ조선전사ꡕ 近代編의 분석․批判」, ꡔ國史館論叢ꡕ 5輯, 國史編纂委員會, 1989.
도진순, 「북한 역사학계의 근․현대사 시기구분 논쟁과 그 변화」, ꡔ역사와 현실ꡕ 1권, 1989.
박찬승, 「북한 역사학계의 근대사 연구」, ꡔ문학과 사회ꡕ 1989년 봄호, 문학과 지성사, 1989.
배항섭, 「왜 남북한 근현대 시기구분, 큰 차이 있나」, ꡔ역사비평ꡕ 1991년 봄호, 역사문제연구소, 199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