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

 1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1
 2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2
 3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3
 4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4
 5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5
 6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6
 7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7
 8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8
 9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9
 10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작가론]매월당 김시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매월당 김시습의 생애
1.1 15세기 전반의 사회적 배경
1.2 생장수학기
1.3 방랑편력기(放浪遍歷期)
1.4 금오은둔기(金鰲隱遁期)
1.5 실의배회기(失意徘徊期)

2. 매월당 김시습의 사상
2.1 유교사상
2.2 불교사상
2.3 도선사상

3. 매월당 김시습의 생애에 대한 고찰
- 매월당의 방외인(方外人)적 인생

4. 금오신화(金鰲神話)
4.1 금오신화를 쓸 당시의 사회적 환경
4.2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4.3 금오신화에 실린 「이생규장전」(`이생이 담 안을 엿보다`라는 뜻)
4.3.1 줄거리
4.3.2 작품분석
4.3.3 이생규장전의 주제 및 감사
본문내용
15세기 전반기의 우리 나라 사회는 신생 조선왕조의 체제가 안정되어 보다 발전된 제도하에서 생산력이 발전하고 민족의 전통문화가 개화한 시기였다. 그런데 그 후반기로 들어오면서 조선조 체제의 구조적 모순이 차차 드러나고 있다. 즉, 과전법 체제의 붕괴 이후 훈구 귀족들의 대토지 점유와 공역의 과중으로 양인 농민층이 급격히 몰락하여 사노비로 전락하든가 아니면 도산 유리하는 추세였다. 국가의 존립 기반인 양인 농민층을 확보 안주시키지 못함으로써 결국 구가는 재정적·군사적으로 허약해 갔던 것이다. 한편 세조의 유교적인 명분을 배반한 왕위 탈취 사건 및 그 후 훈구 집권층의 탐욕 무능으로 인하여 정권이 양심적인 사대부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지배층과 민관의 관계에 있어서 뿐 아니라 지배층 내부에 있어서도 분열이 생기고 갈등이 일어났다. 당시 벼슬자리를 차지한 문인 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현실을 근본적으로 바로 잡으려 하기보다 기성의 권력에 타협해서 자기 일락을 추구하며 한 갓 사장의 재능으로 문치를 장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매월당은 이 체제에 결코 타협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 역시 사대부 출신이고 하나의 독서인으로서 큰 포부를 지녔지만 정치권력에 접근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현실을 완전히 등지고 말았다. 중세기에 있어서 끝까지 저항의 자세를 굽히지 않았던 특이한 존재였다. 그는 저항적 자세 그것만으로 그쳤던 것이 아니고 거기서 하나의 자기 문학과 자시 사상을 창출했던 것이다.
매월당 김시습은 1435년(세종17년) 서울 성균관의 복편 마을에서 태어나서 1493년(성종24년)에 홍산 무량사에서 세상을 떠나, 주생애를 15세기 후반기에 살았다.
그의 생애를 나누어 고찰해보자.
참고문헌
1. 『새로쓰는 조선인물 실록3』, 소준섭, 자작나무, 1997
2. 『한국문학사의 시각』, 임영택, 창작과비평사, 1991
3. 『한국문학작가론2』, 황패강 외 공저, 집문당, 2000
4. 『한국문학통사』, 조 동일, 지식산업사, 1994
5. 『매월당김시습 작품집』, 이운기펴냄, 해누리, 1994
6. 『이야기 국문학사』, 장덕순, 세문당, 2001
7. 『한국한문학연구』, 동국대학교 한국한문학연구소, 1998
하고 싶은 말
김시습의 생애와 사상을 살펴보았으며, 생애를 고찰해보았습니다.
김시습의 작품중에서 금오신화의 이생규장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김시습의 문학세계를 논하였습니다.
많은 도움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