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

 1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1
 2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2
 3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3
 4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4
 5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5
 6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6
 7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문법론] 선어말어미 `시-`의 호응 일치설에 관한 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시-’의 주체존대설
2.2 ‘-시-’의 호응 ․ 일치설
2.2.1 상위 신분성 표시
2.2.2 존칭 체언의 무정화와 ‘-시-’의 통사적 파격 해소 기능
2.2.3 주어 일치소
3. 결론
본문내용
선어말 어미 ‘-시-’는 흔히 ‘주체 높임법’ 어미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실제 ‘-시’에 대한 논란의 여지들은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그로인해 아직까지도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시-’가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라는 주장에 대해서 과연 이것이 본질적으로도 그러한지, 아니면 ‘존대’와 관련은 되어 있어도 본질적 의미와 기능은 ‘존재’가 아닌 다른 어떤 것으로 보는가 하는 논의가 있으며, 그 외에도 다른 관점을 가진 많은 견해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공부하는 학생들은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따로 살펴보지 않는 한 그런 견해들을 접할 기회가 없는 실정이어서, 선어말 어미 ‘-시-’에 대한 이해는 단편적인 부분에서 그치고 마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는 ‘-시-’에 대한 다른 논의를 이해해 봄으로서, 좀 더 트인 관점을 가지는 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여기서는 ‘-시’에 대한 다양한 논의 중 통사론과 관련이 깊은 호응 ․ 일치설을 중심으로 ‘-시-’를 살펴보겠다. 호응 ․ 일치설은 ‘-시-’의 기능을 존대로 간주하지 않고, 문장 구조 안에서 성분간의 호응과 일치를 이루게 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관점이다. 일반적으로 접해 보지 못한 호응 ․ 일치설은 ‘-시-’에 대해서 생소할지 모르는 논의이지만, 이 관점 또한 꽤 오랫동안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어왔다. 호응 ․ 일치설에 대한 논의도 학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세부 논의가 있다.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세 관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시-’를 상위 신분성의 표시로 보는 이숭녕(1964), 존칭 체언의 무정화와 ‘-시-’의 통사적 파격 해소를 연관시키는 박양규(1975), 주어 일치소로 보는 유동석(1993)의 견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강창석(1987), 국어 경어법의 본질적 의미, ꡔ울산어문논집ꡕ 3, 울산대학교
남기심(1996), ꡔ국어문법의 탐구Ⅰꡕ, 태학사
남기심․고영근(1993), ꡔ표준국어문법론ꡕ, 탑출판사
박양규(1975), 존칭 체언의 통사론적 특징, ꡔ진단학보ꡕ 40, 진단학회
성기철(1985), ꡔ현대국어 대우법 연구ꡕ, 개문사
유동석(1993), 국어의 매개변인 문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강호(1993), 우리말의 대우법 연구-주체대우법의 문제를 중심으로, ꡔ인문논총ꡕ 23, 한양대학교
이숭녕(1964), 경어법 연구, ꡔ진단학보ꡕ 25․26․27, 진단학회
임동훈(2000), ꡔ한국어 어미 ‘-시-’의 문법ꡕ, 태학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