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

 1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
 2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2
 3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3
 4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4
 5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5
 6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6
 7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7
 8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8
 9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9
 10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0
 11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1
 12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2
 13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3
 14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4
 15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5
 16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6
 17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시-’의 의미와 기능
2.1. 존대소설
2.1.1. 주체 존대소
2.1.2. 주제 존대소
2.1.3. 경험주 존대소

2.2. 호응소설
2.2.1. 신분성 표지
2.2.2. 무정화 표지
2.2.3. 일치소

2.3. 사회적 지시소설
2.3.1. 존대와 사회적 지시
2.3.2. 관점과 주관화
2.3.3. 상위성과 비하위성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발화는 그것이 이루어지는 실제 상황의 사회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언어가 일정한 사회적 공동체 속에 존재하며 사회 구성원 간의 사회적 교섭 과정에서 도구로 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화 행위를 하는 화자는 발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신분이나 그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 및 발화가 이루어지는 장면의 성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경어법은 국어에서 언어 구조에 반영되는 사회적 정보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기존 논의에서 주체를 존대한다고 기술되는 어미 ‘-시-’나 상대를 존대하는 기능을 가진다고 기술되는 문장 종결 어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는 ‘-시-’의 문법 의미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를 존대소 이론, 호응소 이론으로 나누어 차례로 살펴보고, 기존 논의의 성과와 문제점을 지적하며, 나아가 ‘-시-’의 주된 기능이 사회적 지시가 존대와 관련되는 양상 및 관점이 문장 구성과 ‘-시-’의 쓰임에 관여하는 측면을 고찰한다.


2. ‘-시-’의 의미와 기능


2.1. 존대소설 검토

“선생님이 오셨다.”라는 문장에서 ‘-시-’의 기능은 선생님이란 대상에 존대 의사를 표현하기 위해 서술어에 ‘-시-’를 붙인 것일까? 반면에 선생님이란 대상 자체가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인물이어서 서술어에 ‘-시-’가 쓰인 것일까?
위의 두 주장은 얼핏 보면 방향의 차이에 불과한 듯하다. 전자(존대설)는 동사구에 ‘-시-’를 붙여 명사구가 지시하는 인물을 존대하고, 후자(호옹설)는 명사구가 지시하는 인물의 높음에 호응하여 동사구에 ‘-시-’가 붙는다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존대설은 관련 대상이 아무리 사회적으로 높은 인물일지라도 서술어에 ‘-시-’를 붙이느냐, 붙이지 않느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화자의 존대 의사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존대설은 경어법 사용에서 화자가 차지하는 역할을 강조한다. 반면, 호옹설은 일단 화자가 존대 의사를 부여한 명사구가 주어 자리에 오면 거의 자동적으로 서술어에 ‘-시-’가 연결되는 것이므로 화자의 역할이 제한적이다.
참고문헌
임동훈(2000), 『한국어 어미 "-시-"의 문법』, 태학사
이관규(2002), 『학교 문법론』, 월인, 270-273쪽
이승명(1998), 『추상과 의미의 실재』, 박이정, 563-583쪽
최재웅(2004), 한국어 어미 {-시-}와 무정성,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
이정복(2010), 상황 주체 높임 “-시-”의 확산과 배경,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임동훈(1996)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