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

 1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1
 2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2
 3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3
 4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4
 5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5
 6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6
 7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문법론]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와 해석의 이중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머리
2.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
3.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의 원인
4.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해석의 이중성
5. 마무리
본문내용
1. 들머리

일반적으로 사동이란 “사동주가 피사동주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서정원 1991:18). 사동은 새로운 동작주를 도입하는 과정으로 피사동주가 행동을 할 수 없는 무생물 명사이면 사동문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사동문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피사동주가 행동을 할 수 있는 생물 명사여야 한다.

(1) ㄱ. 시연이가 남동생에게 신발을 신겼다.
ㄴ. 시연이가 남동생에게 신발을 신게 했다.

(1ㄱ)의 예시와 같이 동사에 사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를 삽입한 사동형을 단형 사동이라 하고, (1ㄴ)과 같이 동사의 어간에 ‘-게 하다’가 첨가되어 이루어진 사동형을 장형 사동이라고 한다. 사동의 명칭에 관한 학자들 간의 의견이 다양하지만 본고에서는 학교문법의 관점을 따르고자 한다.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의미 차이에 관한 연구는 학자들 나름대로의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두 사동형의 의미 차이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두 사동형의 의미가 동일하다는 견해로 양인석과 손호민, 김차균 등이 대표적이다. 다른 하나는 두 사동형이 서로 다른 구조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견해로 Shibatani와 임홍빈, 이기동, 박병수 등이 대표적이다. 본고에서는 두 사동형의 의미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고 보아 Shibatani의 ‘이의설’에 입각하여 의미 차이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두 사동형의 의미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규철(1995), “국어 사동법의 명칭과 의미에 대하여.” 『육사논문집 48』, 육군사관학교.
김덕균(1992), “현대 한어 사동문의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 『외국문화연구 1』,
조선대학교 외국문화연구소.
김병일(1986), “국어의 사동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성수(1989), “현대 국어 장형 사동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______(1997), “국어 사동문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영일(1977), “국어 사동법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정원(1991), “국어 사동문의 사동성 정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구희(2001), “학교 문법의 사동표현.” 『영남국어교육 제 7호』,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이관규(2002), 『개정판 학교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