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

 1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1
 2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2
 3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3
 4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4
 5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5
 6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6
 7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7
 8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20년대 문학연구] `폐허` 지에서 보이는 비평의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평문학 序說
2. 폐허 誌 비평의 양상
1) 시대상 진맥
2) 염상섭의 ꡐ月評ꡑ
3) 문학이론 소개
4) 예술가 의식
3. 폐허誌 비평이 가지는 의의
본문내용
1. 비평문학 序說

評壇은 詩壇이나 作壇보다 훨씬 늦게 형성되었고 본격적인 비평 활동은 20년대 후반기 프로문학 시대부터 기산하게 된다. 그나마도 비평은 작가나 시인들의 여기로 쓰였고 그 내용도 퍽 빈곤한 것이었다. 윤병로, 「批評無用論 對 批評擁護論」, ꡔ현대 비평문학의 쟁점과 현실ꡕ, 한국학술정부(주), 2004. 5. - 이하 본고의 ꡐ비평문학 서설ꡑ은 이를 참조하여 약간의 보충을 한 것임.

애초의 비평양상은 계몽기의 평론으로 해석된다. 이를테면 춘원 이광수의 「문학의 가치」 이광수, 「문학의 가치」, ꡔ이광수문학전집ꡕ, 1권, 삼중당, 1962. 504쪽
에서는 ꡐ문학이란 字의 由來는 甚히 遼遠하여 確實히 그 出處와 時代는 攷키 難하나 ……ꡑ등 극히 문학론의 초보적인 수준의 것으로서 최초의 계몽적인 또는 비평사적인 가치는 있지만 극히 유치한 내용을 간직했을 뿐이다.
다음으로 「문학이란 하오」에서 ꡐ批評文ꡑ은 이렇게 논술되고 있다.

근대에 新成한 一體가 有하니, 즉 所謂 批評文 又는 評論文이다. 人이 文學的作品, 즉 論文이나 小說, 詩, 劇 등에 表現된 主旨를 自家의 頭腦中에 一旦 溶入하였다가 更히 自家의 論文으로 發表함을 爲함이니, 現代 文學界의 一半을 占하니라. 이광수, 「문학이란 何오」, ꡔ이광수전집 1ꡕ 삼중당, 1962, 513-515쪽

문학은 三種의 人을 要하나니, 즉, 作家, 批評家, 及 讀者라. 文學者라 함은 前二者를 云함이니, 이광수, 「문학이란 하오」, 위의 책, 515쪽



ꡐ현대문학계의 一半을 占ꡑ한다고 한 것은 비평이 문학계에서 절반을 차지한다는 것은 言外之意에 문단은 창작활동과 비평 활동으로 운영된다는 생각을 드러낸 것이다. 또한 ꡐ作者, 批評家, 讀者라. 文學者라 함은 前 二者를 云함이니ꡑ라고 함으로써 비평가를 독자와 구분하여 생산자 쪽에 귀속시켰다.
그러나 이광수의 이처럼 명쾌해 보이는 규정 안에는 ꡐ主旨를 自家의 두뇌 중에 一旦 溶入하였다가 更히 自家의 論文으로ꡑ 발표한다는 즉 ꡐ소설과 시의 技巧적 形式을 取하지 아니하고 「말하듯이」 발표ꡑ하는 것이라는 애매한 태도가 들어있다. 이는 시나 소설과 같은 창작품을 일차 텍스트로 삼을 때
참고문헌
각주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