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

 1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1
 2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2
 3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3
 4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4
 5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5
 6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6
 7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7
 8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8
 9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9
 10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1920년대 문학] ***1920년대 문학의 흐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1920년대 시대적 흐름

2.1920년대 시대적 상황과 배경

3.3-1운동 결과와 영향

4.1920년대 문학의 양상
본문내용
1.1920년대 시대적 흐름
1920년대의 한국 문학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1910년대 문학의 큰 흐름을 알아야 그 흐름을 따라서 1920년대 문학의 특징과 흐름을 이어 받을 수 있다. 전시 학습에서 우리는 개화기 문학의 전반적인 특징을 학습하였는데 개화사상이 들어오면서 문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다. 이것은 언문일치를 강조한 언어 체계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매체가 들어오게 되면서 신교육과 아울러 작가와 독자층이 대두하게 된다. 또한 근대 계몽기에 접어들면서 신소설이 발달하게 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문학이 예술적인 측면에서보다는 전문적인 측면으로 변모하게 된다. 1910년대가 최남선과 이광수로 대표되는 근대 문학에 대한 인식을 싹 틔우는 기간이었다면 이런 흐름을 이어 받아 우리가 살펴볼 1920년대는 근대문학의 기반이 확립되어가는 확립기라 볼 수가 있다.

2.1920년대 시대적 상황과 배경
1)문화통치 - 1919년 3월 1일 일어난 3․1 운동을 기점으로 하여 일본이 우리나라에게 행한 식민정책이 바뀌게 되었다. 그 이전에는 무단통치로 총과 칼을 앞세운 무단통치였으며 일본은 무단통치의 한계점과 불가능을 알게 되면서 정책을 변경하여 문화통치로 억압하였다. 총독부의 관제의 개편과 헌병 경찰제도의 폐지를 하는 한편 조선인 관리 임용과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허용하게 되는데 이것은 표면적으로 유화정책 이었으며 그 이면에는 식민 지배를 은폐를 하면서 더욱 간교하게 우리나라를 지배하기 위한 방편이었다.

2)민족분열정책 - 조선인 관리 임용을 하게 되면서 조선인은 하급관리로 등용하게 되는데 하급이상의 관리는 되지 못했다. 이는 하급관리를 이용하여 조선인을 지배하기 편하게 이용하려 했으며 민족 운동을 악화시키기 위해 민족운동을 이끌었던 대지주들을 식민 지배체제
.
.
.
.
4.1920년대 문학의 양상

1)소설
우선 현대소설 이란 용어에 있어서는 modernity 이른바 formal realism 의 성격을 갖춘 『무정』이후의 우리 소설을 말한다. 따라서 ‘현대’의 의미는 ‘근대’로도 번역되는 modern의 뜻이며 ‘근대’와 그 개념을 달리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개화기 소설까지를 포함, 식민지시대 소설을 근대소설로 보고, 8․15이후의 소설을 현대소설로 보기도 한다. 우리의 현대소설은 춘원 이광수의 『무정』을 효시로 하여 전개된다. 우리 소설문학의 현대적 성격은 192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확립이 된다. 1920년대 시기의 소설은 『무정』의 한계 즉 소설이 지니는 도덕적 가치나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민족의식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스스로 드러낸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하게 전개가 된다. 특히 이시기에서 그 양식이 확립된 단편소설은 현대 소설적 면모가 뚜렷하다. 또한 사회 교화의 목적문학 또는 이상주의 극복 청산하고, 문학의 독자성과 당대 사회현실에 대한 깊은 관심을 내보인다는 점에서 이전의 소설과 구별 되어진다. 1910년대는 이광수가 주도하였다고 한다면 1920년대는 김동인이 현대소설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문학사를 논하자면 이때 간행된 동인지나 잡지 문예지등을 관련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①1920년대 [창조]와 [영대] - [창조]는 우리 신문학사에 있어서 최초의 문학 월간 동인지였다. 그 전에 [소년]지 이래 몇 가지 월간지가 있었고, [태서문예신보] 같은 문예 주간지가 나
.
.
.
▶주요 동인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점
˚간행 횟수가 대체로 단명했다는 사실
˚한 작가가 여러 동인지에 동시에 관여했다는 점
˚이 시기의 동인지들을 통해 비슷한 연령층의 젊은 작가들이 대거 등장함으로써, 그들 스스로가 폐쇄적 범주에 갇힐 위험을 내포했다는 사실

①1920년 사실주의(현실에서의 지각, 리얼리즘의 전개) - [창조]의 계몽주의 거부는 문예사조상 사실주의를 조성시키는 한편 심리묘사나 성격창조에의 관심과 이의 추구는 현대소설의 기틀을 다지는 동인이 된다. 이 [창조가]가 [폐허], [조선문단] 등에도 영향을 끼쳐 순문학 운동을 전개시킨다. 사실 [창조] 동인들이 사실주의 문학을 의도했던 것은 춘원 이광수의
이상주의적 계몽문학과 정치문학에 반기를 들고 ‘다만 인생 그것을 그대로 표현’ 또는 ‘다만 충실히 우리의 생각하고, 고심하고, 번민한 기록’을 하자는데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초부터 홍수처럼 밀려오는 외래사조를 일본을 통해 갑자기 받아들였기 때문에 문예사조 하나하나를 비판하고 소화하여 순서 있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일시에 각종 문예사조를 무비판적 혼돈상태에서 받아들이고 말았다. 소설에서도 사실주의가 순수하게 정통으로 옮겨진 것이 못되고 여러 가지 근대소설적인 요소가 뒤섞여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더구나 [창조] 동인들이 20대를 전후로 일본 유학을 경험한 학생들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시도한 사실주의 문학은 일본의 번역을 통해서 직,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풍토로 보아 불가피한 노릇이었다.
/.
..

.

.
이하 간단히 생략 드림...
참고문헌
※참고문헌
윤병로 『한국 근․현대 문학사』 명문당 1991년
김윤식 『한국현대 문학사』서울대 출판부 1992년
장덕순 『한국 문학사』동화문화사 1928년
김학동․박노준 외 『한국문학 개론』새문사 1995년
권영민 『한국근대소설론연구』서울대 대학원 1984년
김용직 『한국 근대시사』새문사 1983년
조진기 『한국 근대 리얼리즘 소설연구』새문사 1989년
송하춘 『1920년 한국소설 연구』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소 1979년
스테판 코올․여균등 편역『리얼리즘 역사와 연구』한발 출판사 1982년
김시태 『한국 프로문학 비평연구』아세아 문화사 1978년
하고 싶은 말
좋은점수를 받은 레포트입니다... 에뿔 받은 레포트이구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담겨있는 레포트이며 조별 발표 및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쓰시기에도 굉장히 좋은 자료 입니다.


거의 왠만한 내용은 빠짐없이 구성되어있습니다. ^^ 그럼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