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

 1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
 2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2
 3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3
 4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4
 5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5
 6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6
 7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7
 8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8
 9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9
 10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0
 11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1
 12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2
 13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3
 14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4
 15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5
 16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6
 17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7
 18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8
 19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미문학] 『주홍글자』의 상징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주홍글자』의 대표적 상징
1. 주홍글자 ‘A’
2. 숲과 청교도 마을
3. 빛과 어둠

제3장 네 중심인물의 상징성
1. 헤스터 프린
2. 아서 딤즈데일
3. 펄
4. 칠링워스

제4장 결론
본문내용
제1장 서론


본 비평의 목적은 나사니엘 호손(Nathaniel Hawthorne, 1804-1864)의 『주홍글자』(The Scarlet Letter)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상징들을 살펴봄으로써 이 작품이 갖는 풍부한 상징성을 밝히는 데 있다. 호손은 『주홍글자』에서 17세기 미국 청교도 사회의 비정함과 경직된 신앙을 비판하면서 개인과 사회,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다양한 상징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주홍글자』는 기본적으로 청교도 사회의 법을 어기고 그 형벌로 간음을 상징하는 주홍글자를 항상 달고 다녀야 하는 한 여인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호손은 간음이라는 자극적인 소재를 다뤘으면서도『주홍글자』를 단순한 연정소설로 만들지 않고 작품의 배경과 등장인물에 풍부한 상징성을 부여함으로써 이 작품을 개인과 사회의 관계, 또한 인간과 자연의 관계로까지 확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주홍글자』에 등장하는 상징들을 분석해보는 것은 주홍글자의 풍부한 상징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작품에 한 두 번 등장하는 세세한 상징물에 대한 논의는 본 비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본 논문에서는 작품의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상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작품 전반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상징물로는 주홍글자 ‘A’, 숲과 청교도 마을, 빛과 어둠을 들 수 있으며 네 명의 주요인물인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 아서 딤즈데일(Arthur Dimmesdale), 펄(Pearl), 로저 칠링워스(Roger Chillingworth) 또한 결코 한 마디로 정의내릴 수 없는 풍부한 상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의 세 가지 상징과 상징적 성격을 띤 네 인물들에 대한 논의가 주가 된다.
본 비평의 목적은 간음을 소재로 한 이야기를 인간과 자연, 개인과 사회의 지평으로까지 확대한 호손의 작가적 역량을 염두에 두면서 주홍글자의 풍부한 상징이 어떻게 이에 공헌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고의 목표는 『주홍글자』를 자세히 읽으면서 『주홍글자』의 상징들과 네 인물의 상징성이 이 작품의 지평 확대에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제2장에서는 주홍글자 "A", 숲과 청교도 마을, 빛과 어둠의
참고문헌
1. 텍스트
Hawthorne, Nathaniel. The Scarlet Letter: An Authoritative Text, Essays in Criticism and Scholarship. New York: Norton, 1988.
나사니엘 호손. 『주홍 글씨』. 일신서적출판사, 1997. 반광식 옮김.

2. 참고문헌
김성곤.『미국현대문학』. 민음사, 1997.
천승걸, 「호손의 『주홍글자』: ‘모호함’의 미학. 우리들의 운명 이야기」.
『안과밖』제 2호. 영미문학연구회. (1997): 154-70
Brodhead, Richard H. Hawthorne, Melville and the Novel. Chicago: U of Chicago P, 1976,
Fogle, Richard H. Hawthrone's Fiction: The Light and the Dark. Norman: U of Oklahoma P, 1964.
Gerber, John C.,ed. Twentieth Century Interpretation of The Scarlet Letter: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1968.
Miller, J. Harris. Hawthorne and History. Cambridge: Basil Blackwell, 1991.
Normand, Jean. Nathaniel Hawthorne. Cleveland, Ohio: P of Case
Western Reserve U, 1980.
Turner, Arlin. Nathaniel Hawthorne: An Introduction and Interpretation. New York: Barnes ,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