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1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1
 2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2
 3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3
 4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4
 5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5
 6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6
 7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7
 8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8
 9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9
 10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10
 11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_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도덕교육론]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길리건과 나딩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Ⅰ. 서론
Ⅱ. 배려 윤리
1. 길리건의 배려 윤리
2. 나딩스의 배려 윤리
Ⅲ. 경험 사례 분석 - 연애에 대하여
Ⅳ. 초등 도덕 교육에의 적용
1. 길리건의 배려 윤리 발달을 위한 도덕 교육
2. 나딩스의 배려 윤리 교육론
Ⅴ. 결론
Ⅰ. 서론
한국은 다른 그 어느 나라보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주말 저녁이 되면 여기저기서 동창회다 모임이다 식당 등의 고기집이 불야성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심지어 자기 소개를 할 때에도 자기가 어디 출신인지, 어디 학교를 나오고 지금 다니고 있는 곳은 어딘지, 또는 어떤 직장에 다니는지를 말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활동은 무엇인지, 좋아하는 색깔을 무엇인지, 앞으로 살아가는 데에 목표는 무엇인지에 대한 말은 거의 하지 않는다.
이처럼 관계지향적인 한국에서,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윤리학은 적용하기가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칸트에서부터 시작해서 죽 이어져 오고 있는 자유주의 윤리학은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중시하면서 사회를 유지하는 데에 필수적인 원리가 ‘정의’라고 말한다. 콜버그의 인지 도덕 발달론이 이러한 자유주의 윤리를 계승하고 있고, 지금 우리나라의 도덕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덕 수업 모형 중의 상당수가 콜버그의 이론에 의해 만들어져있다. 하지만 이런 개인주의적이고 또한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인지발달이론은 타인에 대한 무관심, 보살핌 부족, 이에 따른 우리 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이기주의와 같은 도덕적인 문제에 해답을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그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도덕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게 해주는 도덕 이론이 ‘배려 윤리’이다. 2장에서는 배려윤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3장에서는 그 이론이 적용되거나 적용될 수 있는 경험사례를 정리해보고, 4장에서는 이 이론을 초등 도덕 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연구해본다
Ⅱ. 배려 윤리
1. 길리건의 배려 윤리
콜버그의 인지 발달 도덕론이 퍼져있던 1980년대, 길리건은 ‘배려 윤리’를 주장하면서 도덕론에서의 다른 시각을 제시했다.
ㄱ. 정의의 도덕성과 배려의 윤리 - 정의 도덕성론에 대한 비판
1982년 길리건(Gilligan) 저서 『다른 목소리로』(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를 출간하면서 배려 윤리에 관해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그녀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이 남성 위주의 이데올로기에 기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녀가 연구한 결과로는, 여성은 도덕 판단의 상황에서 정의와 권리 보다는 인간관계속에서의 배려와 책임을 기준으로 삼는다.
콜버그에게 있어서 도덕성은 도덕 문제에 있어서의 판단의 근거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도덕성의 특징을 규정성과 보편성으로 보고 도덕 원리는 선택의 상황에서의 보편적인 양식이며 ‘누구라도 어떤 상황에서도 채택하지 않을 수 없는 선택의 규칙’이다. 이는 절대적인 진리가 있다고 믿은 소크라테스, 플라톤, 칸트, 롤즈 등의 자유주의 철학적 전통을 이어받은 것이다. 또한, 도덕적 판단을 가능케 하는 것은 ‘추론 능력’이라 하며, 정서적 요인도 다분히 작용하지만, 도덕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인지적인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콜버그는 도덕적 문제와 관련하여 인지 구조가 발달해 가는 과정에 관심을 가졌다. 콜버그는 주로 이것을 연구할 때에 ‘도덕적 딜레마’를 제시한 다음, 그 반응들을 분석하는 식으로 이루어졌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을 할 것이며, 왜 그러한 판단을 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콜버그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도덕발달단계를 3수준 6단계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