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

 1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1
 2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2
 3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3
 4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4
 5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5
 6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6
 7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7
 8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8
 9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9
 10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10
 11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11
 12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12
 13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30년대 전기 문학분석 -프로문학, 순문학-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30년대 전기 문학-프로문학, 순문학
-김기림 ‘기상도’, 이기영 ‘서화’-
목차
1. 이기영 「서화」
1-(1). 이기영의 활동
1-(2).「서화」의 내용
1-(3).「서화」분석
1-(4).「서화」에 대한 평가
2. 김기림 「기상도」
2-(1). 김기림의 활동
2-(2).「기상도」의 내용
2-(3).「기상도」분석
2-(4).「기상도」에 대한 평가
1.이기영 「서화」
1-(1). 이기영의 활동
- 이기영은 조명희, 한설야, 김남천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카프의 대표적인 작가로 충청남도 아산에서 태어났다. 그가 작가로서 관심이 있는 것은 식민지하의 농촌이었다. ‘농촌 사람’ 혹은 ‘평민’이라는 뜻의 민촌(民村)으로 자신의 호를 삼았다는 것을 보고 이를 알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농촌은 아직 청산되지 못한 봉건적 잔재들, 아무리 땀 흘려 일해도 곤핍해지기만 하는 살림살이인 궁핍과 고난의 삶이다. 이기영은 이러한 농촌 현실을 고스란히 실어 나른다. 그는 1924년 《개벽》에 단편 「오빠의 비밀편지」가 당선된 이래 카프에 가담하였다, 이러한 그의 대표작으로는 「가난한 사람들」, 「민촌」, 「농부 정도룡」, 「홍수」 그리고 「서화」가 있다. 네이버 지식 백과, 이기영 [李箕永] - 깊고 도타웠던 농촌 사람, 그리고 농민문학 (나는 문학이다, 2009. 9. 9., 나무이야기)
1-(2).「서화」의 내용
- 서화는 농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진행된다. 다양한 인물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돌쇠가 중심이 되어 이야기가 진행된다. 힘들여 농사지어봤자 소작료와 세금을 떼면 거의 남는 게 없어 도박에 손을 댄 돌쇠는 바보 응삼이를 도박판에 끌어들여 소 판 돈을 우려낸다. 그리고 어릴 적부터 사랑하는 사이였지만 돈 때문에 팔려간 응삼이의 처 이쁜이와 정을 통한다. 이를 시샘한 면서기 원준이 마을 사람을 모아 놓고 이들을 처벌하려 하지만 도쿄유학생이자 개량주의자인 정광조가 등장하여 봉건적 인습에 희생되었던 두 남녀의 사랑과 불가피했던 돌쇠의 도박에 대하여 두둔한다. 이로써 돌쇠는 위기를 모면하게 된다는 것이 「서화」의 줄거리다. 원래 「서화」는 「서화」, 「돌쇠」, 「저수지」 3부 연작형태로 계획했으나 「돌쇠」 2회 이후 중단되어 첫 편인 「서화」만 발표된 것이다.
1-(3).「서화」분석
1-(3)-(1). 프로문학
- 프로 문학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약칭이다. 프롤레타리아의 생활을 제재로 하여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해방을 위한 계급투쟁으로서의 문학을 표방하는 것이다. 프로문학은 유산자와 무산자의 계급적 대립 의식을 뚜렷하게 보여주는데 무산자의 가난과 고통은 유산자의 착취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무산자를 해방시켜야 한다는 사회주의 이념이 작품 속에 형상화되는 것이다 두산세계대백과
. 이것은 가난을 운명적인 것으로 받아들였던 것에서 점차 사회의 불합리와 부조리에 눈을 뜨게 된 결과이다. 우리나라는 1925년에 카프가 결성되면서 그 형태가 나타났다. 이 시기의 주요 작가로는 최서해, 이기영, 이익상, 김기진, 박영희, 주요섭 등을 들 수 있다. 이기영의 「서화」는 이 중 프로농민 소설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카프문학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92.
1) 프로농민소설
- 프로농민소설은 기존의 농민소설과는 다른 모습이다. 기존의 농민소설은 농촌의 현실과 농민의 삶이 얼마나 비참한 상황에 놓여 있는가에 주목한다. 그러나 이러한 농민소설이 1920년대를 넘어서면서 새로운 변화를 드러내기 시작한다. 농촌의 당면 문제에 대한 농민들의 계급적 연대와 조직적인 투쟁의 과정을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작품들을 프로농민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농민소설의 이 같은 단계적 변화는 계급문학에서 추구했던 리얼리즘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방법과도 서로 관련되어 있다. 이것은 농민의식의 성장과 농민운동의 발전 과정에 대한 계급문단의 이념과 요구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네이버 지식 백과, 이기영 [李箕永] - 깊고 도타웠던 농촌 사람, 그리고 농민문학 (나는 문학이다, 2009. 9. 9., 나무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