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

 1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
 2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2
 3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3
 4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4
 5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5
 6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6
 7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7
 8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8
 9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9
 10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0
 11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1
 12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2
 13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3
 14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4
 15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5
 16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6
 17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7
 18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8
 19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19
 20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현대 중국의 외래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대 중국의 외래어-

1. 중국어에서의 외래어 정의
2. 중국의 외래어에 대한 고민 유모(幽)
3. 중국의 외래어는 언제부터 들어왔을까?
(1) 한당시기
(2) 五-四 운동 전후
(3) 개혁 개방 이후
4. 중국의 외래어 표현방법
(1) 순수하게 외래어의 음만 중국어로 옮긴 경우
(2) 음과 의미를 같이 쓴 경우
(3) 음과 함께 종류 명을 표기한 경우
(4) 순수하게 외래어의 뜻만 중국어로 옮긴 경우
5. 알아두면 유용한 외래어들
(1)음식
(2)유명한 사람 이름
(3) 영화제목
(4) 상표명
(5) 그 밖의 유용한 외래어
6. 중국 외래어의 특징 (주관적 입장)
7. 문제점
8. 우리가 새롭게 만드는 중국 외래어
1. 중국어에서의 외래어 정의
중국의 대표적인 외래어 사전인 ≪漢語外來詞詞典≫ 劉正高名凱麥永乾史有爲編, 北京 商務印書館, 1985年 출판.
에는 일만여 단어를 수록하고 있으며, 음역어, 음역어에 표의성분을 덧붙인 단어, 반음역반의역어, 그리고 일본어에서 가져온 한자 단어들을 모두 외래어로 인정하여 수록하고 있다. 중국의 외래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아직 미흡하지만 외래어는 체계가 다른 언어체계의 어휘에서 빌려온 단어라는 차용어의 뜻을 지니고 있다. 외래어에 대해 정의해 놓은 것을 한 번 보자. 王力 王力, ≪漢語史稿≫ 下冊(科學出版社, 1958), p.520.
은 외래어를 ‘借詞(音譯)’와 ‘譯詞(意譯)’으로 나누고 ‘借詞’란 ‘다른 언어로부터 음과 뜻을 모두 가져오는 것이며’, ‘譯詞’란 ‘중국어 고유의 造語방식으로 다른 언어의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을 중국어로 소개해 오는 것’이라고 정의 하였다. 그리고 ‘借詞’만이 외래어이고, ‘譯詞’는 외래어로 간주하면 안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중국어의 외래어 조어 방식을 보면 ‘譯詞’ 역시 외래어의 범주에 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중국의 외래어에 대한 고민· 유모(幽)
중국어에서 외래어는 타민족 언어에서 빌려다 쓴 언어를 말한다. 언어는 민족의 혼을 담고 있다. 언어에 외래 요소가 많아지면 모국어로서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고 국민들의 유대감이 떨어진다. 때문에 19세기 이래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자국 언어에서 외래 요소를 적절히 제한하고자 하는 운동도 일어나기도 했다.
임어당(林語堂) 임어당(林語堂, 1895-1974, 초명은 옥당) 작가, 평론가이다. 중국 복건성 용계에서 출생하였으며, 상해 성요한 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과 독일에 유학하였다. 1936년 도미, 1948년 유네스코 예술문학 예술문학부장, 프린스톤 대학 교수, 1953년 자유중국 유엔대표 고문을 역임하였다. [생활의 발견], [북경호일], [폭풍우 속의 나뭇잎] 등을 저술하였다.
선생은 영어의 humour를 중국어로 幽라고 했는데
당시 노신은 이 말이 靜 이나 幽靜 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어.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당시 많은 학자들이 humour를 중국어로 바꾸려고 노력했었다. 전현동은 酉摩, 李靑崖 語妙,易培其는 罵,陣望道는油滑,唐侯는 諧穆,라고 각각 불렀는데,酉摩은 음은 가장 가깝지만, 글자가 너무 까다롭고, 語妙는 너무 평이한 경향이 있고, 罵는 잘 이해가 가지 않으며, 油滑는 너무 안 좋은 이미지가 강하고, 諧穆는 이도 저도 아니게 너무 어수룩해 보였다. 결국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幽가 음역도 되고, 또 의역으로도 은근하게 해학적이며, 묵묵히 그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말이라는 뜻으로 지금까지 전해오게 되었다. 이렇듯 외래어를 표기 할 때에는 보다 자연스러운 중국어로 표현하도록 연구하며 또 대중들의 호응도 얻어야 만이 확실한 외래어로 자리를 굳히게 되는 것이다
3. 중국의 외래어는 언제부터 들어왔을까?
중국은 역사상 외래어를 대량 중국어에 들여왔던 세 시기가 있었다. 첫 번째는 서역과의 교류가 빈번하고 불교경전을 활발히 번역하였던 漢唐시기(BC 202-AD 907) 이고, 두 번째는 五四(1919)전후에 서양문물의 東漸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세 번째는 1978년 중국의 개혁개방이 시작된 후부터 지금까지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