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

 1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1
 2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2
 3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3
 4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4
 5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5
 6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6
 7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7
 8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8
 9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9
 10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10
 11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11
 12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12
 13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장년(중년)기의 대한 교회 교육적 과제
Ⅰ.들어가는 말
Ⅱ. 중년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중년기 성인교육의 목적
Ⅳ. 중년기 성인 교육의 내용
Ⅴ. 나가는 말
부록 : 장년부 수련회를 통한 교회 교육적 방법
Ⅰ.들어가는 말
성인 시기는 모순되는 많은 갈등들을 통합시키며, 상호의 관계를 성숙시키고, 타인을 위한 봉사가 더욱더 개방되는 시기이다. 아울러 많은 개인적인 아픔도 찾아오는 시기이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직업에서의 어려움, 가정생활의 짐들....... 성숙이 요청되는 시기인 동시에 많은 책임이 따르는 시기이다.
신앙의 성장은 결코 어린이나 청소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삶의 단계에 해당하며 주님 앞에 서는 날까지 성장한다. 성인 시기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성인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신앙의 한 단계에 속하며, 따라서 어린이와 마찬가지로 고유한 신앙의 모습을 갖는다. 교회교육은 어린이 못지않게 성인에 적합한 교육적 모습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오늘날 평균수명의 연장과 자녀출산 및 양육기간의 단축 등으로 중년기가 장기화하고 있다. 또한 중년기는 변화와 전환의 시기로 기존의 생의 구조를 재구조화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갈등과 도전의 직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중년기가 전 인생주기의 중요한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중년기에 대한 통합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성인 교육에 대한 열의나 관심을 소홀히 해왔음을 인식하게 된다. 교회교육에 있어서도 아동교육과 대학, 청년 교육에 한정하고 중년교육에 소홀히 함으로서 교회교육의 위기를 실감하게 된다. 이러한 가운데 중년기의 역사와 발달과업, 그리고 중년기의 목적과 특징들을 살펴보고 중년기에 필요한 교회 교육적 모델을 제시하고 한다.
Ⅱ. 중년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중년기 구분과 용어 정의
1) 중년기 구분
어느 연령을 중년기라고 해야 하는가에 대하여는 학자들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기에 중년기에 대한 명확한 구분은 그리 쉽지 않다. 이것은 인간의 발달이란 연속적 변화의 과정으로 환경 적, 개인 내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중년기는 연령뿐만 아니라 생활주기, 개인의 심리적, 생물학적 과정, 사회적, 역사적 배경에 의하여 종합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학자들은 생활연령과 가족 생활주기를 기준으로 중년기를 구분하고 있다.
첫째, 생활연령에 의한 구분은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것으로, 중년기가 몇 세에 시작하여 몇 세에 끝나며 ,얼마나 지속되는가에 대하여는 서로 다른 의견을 제시하지만 학자에 따라 35세에서 70세까지의 어느 시기를 각각 중년기로 보고 있으며 미국 인구 통계국에서 구분한 중년기는 45-64세이다. 우리나라의 연구에서는 김재은(1983)은 40-60세, 김명자(1989), 김남순(1986), 김현화(1992), 신기영(1990)은 40-59세, 이강윤(1986)은 39-59세, 장재정(1987)은 30-60세를 중년기로 보았다.
둘째, 가족 생활주기 단계로서 중년기를 설명하는 학자들은 연령과는 관계없이 막내자녀의 독립으로부터 은퇴까지를 중년기로 구분하였으며 빈 보금자리 기(Empty nest period), 탈 부모기(post parental period) 등으로 언급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서구 가족의 가족 생활주기가 적용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막내자녀가 결혼하기 전까지는 대부분 부모로부터 완전한 심리적, 경제적 독립을 이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에게 유행처럼 퍼지고 있는 늦둥이의 문제는 중년기 연구에 또 다른 접근을 요하고 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우리나라 중년기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자녀 양육의 역할이 어느 정도 감소되고 노부모의 성장한 자녀의 중간에 위치하는 세대로서 40-59세에 해당되는 시기를 중년기로 구분하고 있다.
셋째, 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신체적, 생물학적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인생의 유한성에 직면하여 본질적 자아에 대한 성찰에 관심을 가지는 시기이며, 사회적 관점에서는 사회생활, 직업생활에서의 모든 난관을 극복하고 대인관계 및 사회 경제적 지위 등에 있어 절정기에 달하였으나 더 이상의 성취보다는 하강과 은퇴를 감지하기 시작하여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음을 인식하는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