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호전에 대하여

 1  수호전에 대하여-1
 2  수호전에 대하여-2
 3  수호전에 대하여-3
 4  수호전에 대하여-4
 5  수호전에 대하여-5
 6  수호전에 대하여-6
 7  수호전에 대하여-7
 8  수호전에 대하여-8
 9  수호전에 대하여-9
 10  수호전에 대하여-10
 11  수호전에 대하여-11
 12  수호전에 대하여-12
 13  수호전에 대하여-13
 14  수호전에 대하여-14
 15  수호전에 대하여-15
 16  수호전에 대하여-16
 17  수호전에 대하여-17
 18  수호전에 대하여-18
 19  수호전에 대하여-19
 20  수호전에 대하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수호전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水滸傳》
1. 수호전의 개요
수호전 [水滸傳] : 중국 명대(明代)의 장편무협 소설.
저자 시내암(施耐庵)
장르 소설
원말 명초(元末明初)의 시내암(施耐庵)이 쓰고, 나관중(羅貫中)이 손질한 장편소설로 4대 기서(奇書) 중의 하나이다. 판본은 70회본·100회본·120회본 등 세 종류로 크게 나뉜다. 이 가운데에서도 120회본이 수호설화(水滸說話)의 가장 발전된 모습이다. 120회본에 의한 대강의 줄거리는 7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수령인 송강(宋江)을 중심으로 108명의 유협(遊俠)들이 양산(梁山:山東省 壽張縣 남동) 산록 호숫가에 산채를 만들어 양산박(梁山泊)이라 일컬었으며, 조정의 부패를 통탄하고 관료의 비행에 반항하여 민중의 갈채를 받는 이야기이다. 창조된 인물들의 이미지와 묘사된 성격이 매우 다채로우며, 《서유기(西遊記)》가 신마(神魔)를, 《유림외사(儒林外史)》가 지식계층을, 《홍루몽(紅樓夢)》이 명문의 자녀를 묘사한 것과는 달리 《수호지》에서는 노지심(魯智深)·이규(李逵)·무송(武松) 등과 같은 신분이 낮은 정의한이나, 임충·양지(楊志)·송강 등과 같은 지주 출신자 또는 봉건정권을 섬긴 적이 있는 활발하고 용감한 사나이들이 중심인물이다.
필치는 거칠지만, 풍부한 색채와 어휘, 발랄한 표현으로 계급과 유형이 상이한 인물들을 그려내고, 이들 인물의 생활발전을 통하여 봉건통치 집단의 암흑성과 서민의 비참한 생활, 용감한 투쟁 사상·감정 등을 나타내었다. 《수호지》의 탁월한 인물묘사의 기교와 표현예술은 중국소설 중에서도 굴지의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수호지》의 줄거리는, 송(宋)·원(元) 무렵에 많은 민중·예능인·문인 등의 손으로 창조되었던 것을 시내암이 편집한 것인데, 송대의 《선화유사(宣和遺事)》에는 수호의 36명의 영웅 이야기가 있고, 《계신잡지(癸辛雜識)》에 의하면 송말의 공성여가 36명의 화찬(畵讚)을 만들었다 하며, 《곡해총목제요(曲海總目提要)》에 의하면 송나라의 화가 이숭(李嵩)이 화상을 그렸다 한다.
또 《취옹담록(醉翁談錄)》이나 원나라의 잡극(雜劇)에도 수호의 인물들이 나오며, 명나라 가정(嘉靖) 연간 고유(高儒)의 《백천서지(百川書誌)》에는 시내암이 쓰고 나관중이 편찬한 《충의(忠義) 수호지》 100권이 기록되어 있다. 그 일부를 삭제하고 편수한 것이 곽훈(郭勳)의 100회본이며, 이것이 조본(祖本)이 되어 여러 종류의 《수호지》가 출판되었는데, 그 중에서 천계 숭정(天啓崇禎) 연간의 양정견(楊定見)의 120회본 《충의수호지전(全)》을 명말 청초(明末淸初)에 김성탄(金聖嘆)이 다시 손질한 《제5재자서(第五才子書) 수호지》 70회본이 유행하게 되었다. 《수호지》가 후일의 문학에 끼친 영향은 매우 크다. 명(明) ·청(淸)의 희곡 중에는 《수호지》에서 취재한 것이 많고, 《금병매(金甁梅)》는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창조를 더했으며, 《설악전전(說岳全傳)》 안의 일부 인물은 수호의 영웅들의 후계자이기도 하다. 그리고 진침(陳?)은 《수호후전(後傳)》을 썼으며, 유만춘(兪萬春)은 《결(結)수호지》라고도 하는 《탕구지(蕩寇志)》를 지었다.
2. 작자 소개
시내암 [施耐庵, 1296?~1370?] : 나관중과 함께 《수호지(水滸誌)》의 작가로 알려져 있는 중국의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 작가.
본명 자안
국적 중국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중국 장쑤성[江蘇省] 화이안[淮安]
주요저서 《수호지(水滸誌)》(나관중(羅貫中) 공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