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

 1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1
 2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2
 3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3
 4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4
 5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5
 6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6
 7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7
 8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리주의 - 6 나와 우리 - 샘마을의 미루나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리주의
1.공리주의 이론 개관
1) 공리주의의 등장 배경
18세기 유럽사회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겪으면서 전반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는데, 영국또한 산업혁명으로 인해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새로운 사회구조의 등장과 함께 시민계급이 대두되었는데 그들은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권익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스스로 경제적 이익을 위해 정치적 주체가 되기를 원했던 것이다. 산업혁명의 무한경쟁 속에서 서로 무절제하게 이윤추구 만을 위해 행동하게 되었고 이는 개인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 조화에 문제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사회구조와 도덕, 법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고 공리주의가 쾌락에 중심을 둔 공리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2) 공리주의란?
‘공리주의’라는 용어는 처음 벤덤에 의하여 체계화 되었으며 공리주의는 공공의 이익을 우선하는 이론이다. 즉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 공리주의라 할 수 있다. 벤담에 의하면 인간은 필연적으로 행복을 추구하며 고통을 회피하려는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있어 옳은 행위란 최소의 고통과 최대의 쾌락을 얻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고통보다는 행복한 삶을 살길 원하며 그를 위해 쾌락을 추구한 다는 것이다. 쾌락주의는 공리주의 훨씬 이전의 고대 서양철학에서도 엿볼 수가 있는데, 에피쿠로스학파가 쾌락을 ‘선’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공리주의의 쾌락주의는 고대 에피쿠로스학파는 개인적인 쾌락을 중시 했다면 공리주의에서는 사회적인 쾌락을 중시한다고 생각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공리주의에 있어서 최대의 선은 최대한 많은 사람이 최대한 많은 행복을 얻는 것이다.
결과주의로서 공리주의는 인간의 행동이 자신이나 혹은 타인에게 유쾌감을 주었느냐 불쾌감을 주었느냐에 따라 선악을 판단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쾌락을 주었으면 선한 행위요, 불쾌감을 주었다면 그것은 악한 행위가 되는 것이다. 한 가지 사건이 일어났을 때에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유쾌감과 불쾌감의 정도도 다를 뿐더러 그것들을 물리적으로 계산할 수 없을 진대 어떻게 공리주의에 대해 논할 것인가가 문제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단 공리주의라는 윤리체계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그 목표로 하고 있음만은 확실 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① 벤담의 양적 공리 주의
벤담은 “자연은 인류를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 주권자의 지배 하에 두어왔다. 우리들이 무엇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가를 지시하고, 또 우리들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다만 고통과 쾌락뿐이다. 일면에 있어서는 선악의 기준이, 다른 일면에 있어서는 원인과 결과의 연쇄가 이 두 옥좌에 연결되어 있다.” J. Bentham. Op. Cit., I, I, p1.
라고 말하였다. 인간은 고통과 쾌락에 따라 행위 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는 인간의 행위가 쾌락과 고통에 따라 좌우된다고 말한다. 쾌락과 고통은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 지뿐만 아니라 행위의 결과에 따라서도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이 된다.
벤담의 말에 의하면 인간은 누구나 고통을 피하려 하고 쾌락을 추구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고 한다. 행위의 결과가 유쾌하다면 그것은 좋은 행위이며 결과가 불쾌감을 준다면 그것은 나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쾌락만이 유일한 선이며 고통만이 유일한 악이라고 하였으며 그의 행복 개념이란 결국 최대한의 쾌락 추구를 뜻한다고 하였다. 또한 이렇게 쾌락을 추구하는 행위가 공공의 이익에 부합되었을 때 그것은 사회적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공리주의의 원리를 “최대 행복의 원리” 라고 불렀다. 벤담의 말에 따르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쾌락은 한 가지 종류 밖에 없는데 그것이 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으며, 양적으로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또한 그는 고통도 쾌락도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생산성, 순수도, 파급범위에 따라 쾌락의 양을 계산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것들이 인간의 행위에 대한 평가 기준이며 이 기준들에 따라 쾌락의 양을 헤아릴 수 있다고 벤덤은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