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

 1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1
 2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2
 3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3
 4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 여음의 종류와 기능
Ⅰ. 서론
Ⅱ. 본론
ⅰ. 여음의 종류
ⅱ. 여음의 문학적 기능과 음악적 기능
Ⅲ. 결론
Ⅰ. 서론
여음이란 시가(詩歌)에서 대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음성이나 말로서, 흥을 돋우거나 운율을 고루어 음악적 효과를 얻거나, 본사의 내용적 의미의 보충이나 강조 등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 무의미한 사설 혹은 감탄적 사절을 말한다. 여음은 자연에서 발생하는 소리, 악기나 생활 도구를 다룰 때 나는 소리, 감동의 상태에서 사람이 내는 소리를 모방하는 것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속요에서 여음은 그 자체로는 의미를 가지지 않지만, 고려속요라는 시가작품 속에서 시적 구성요소가 됨으로써, 작품의 다른 단위들과 상호관련성을 가지게 된다. 즉, 하나의 통일된 전체로서의 시가작품을 구성하는 기능적 단위가 되는 것이다. 고립된 여음은 의미를 가지지 못하며, 여음이 없는 고려속요는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여음은 본가사와 함께 중요성을 지니며, 고려속요는 여음에 의해 그 존재방식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려속요에서 여음을 제거하면, 본사부만으로 한편의 완결된 시가작품으로 보기 어렵다.
여음의 존재와 반복은 고려속요를 고려속요답게 하는 형식이다. 여음은 고려속요 전작품에서 모두 나타나며, 양적 비중도 크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고려속요는 가창의 방식으로 수용되었기에 현대시처럼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되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으로 경험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말의 뜻보다 리듬에 의한 효과가 더 커진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이때의 리듬 효과를 여음이 담당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리듬이라는 것도 그 자체로 존재한다기 보다는 본사부 의미와 더불어 존재하기 때문에 여음은 리듬효과에 의한 시적기능은 더 커진다.
Ⅱ. 본론
ⅰ. 여음의 종류
여음은 그것이 오는 위치에 따라서 앞여음(초렴), 가운데 여음(중렴), 뒷여음(후렴)으로 종류를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 후렴이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고려속요에서 초렴은 사실상 거의 없다. 초렴으로 분류되는 것은 의 ‘듥기동’, 의 ‘어와’정도인데, 이들은 일회적으로 쓰인 의성어나 감탄사 정도로 이해된다.
중렴은 다시 감탄사와 조흥구로 나눌 수 있다. 감탄사로 볼 수 있는 것은 ‘아으’이다. ‘아으’는 향가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는데, 십구체 향가에서 쓰였던 것과 같이 고양된 정서를 분출하는 기능을 했다. ‘아으’는 나 에서 볼 수 있다. 의 ‘아으’는 각 의미단락의 마지막 구 바로 직전 구의 말미에 항상 위치하여, 각 시상을 집약하고 단락 사이의 시상 전환을 부각한다. 이외의 중렴들은 거의 흥을 돋우는 역할을 하는 조흥구에 속한다. 중렴으로 쓰인 조흥구는 , 등의 경우가 있다. 에 쓰인 ‘위 덩더둥셩’과 의 ‘다로러니’는 전반적 의미와는 관계 없이 연행 상황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쓰인 구절이다. 특히 ‘다로러니’는 시용향악보에 실린 여타 고려가요에서 중렴이나 후렴으로 자주 쓰인 것으로 보아서 본사의 내용과는 큰 관계없이 쓰인 여음으로 짐작할 수 있다.
후렴은 연단위로 주로 반복된다. 이는 앞의 실사부와 연을 이루고 이런 연단위의 리듬패턴이 반복됨으로써 일정한 정연감을 느끼게 한다. 후렴은 하나의 리듬패턴이 종결되었음을 말해주며 이 패턴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갈 것임을 말해준다. 그리고 작품 전체에도 통일감을 부여한다. 후렴의 예로는 의 ‘아으 동동다리’, 의 ‘위 두어렁셩두어렁셩다링디리’, 의 ‘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의 ‘위 증즐가 대평성대’ 등이 있다. 후렴은 흥을 돋우거나 작품에 형태적 정형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가창을 더욱 흥겹게 해주는 후렴에는 대체로 ‘ㅇ[ŋ]’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율동감을 주기 위해서이다. 의 여음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얄라”를 보면 ‘ㅇ[ŋ]’의 율동감 외에도 ‘ㄹ’과 양성 모음의 반복으로 인한 유려하고 밝은 느낌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