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

 1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1
 2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2
 3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3
 4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4
 5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5
 6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6
 7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리주의

I. 들어가면서
II. 공리주의의 이론
III. 사례
IV. 수업 적용
V. 마치며
I. 들어가면서
사람의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은 끊임없이 논의되어져 오고 있다. 나는 고등학교 때 윤리를 배우지 않아서 공리주의가 무엇인지 칸트가 무엇인지 등 도덕성, 도덕 판단에 대해서 특별하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이번 학기 초등도덕교육1을 배우면서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에 대한 여러 체계적 이론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교수님이 제시한 사례 중 미뇨넷호 사건(더들리와 스티븐슨 재판)을 탐구하면서 내 판단의 기준이 공리주의 쪽에 부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의 도덕 판단 기준으로 볼 수 있는 공리주의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자 이번 과제에서 공리주의를 택하게 되었다. 벤담과 밀의 이론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고 공리주의를 알아볼 것이다.
II. 공리주의 이론
1. 공리주의의 등장과 발전
19세기 영국에서는 산업 혁명이 일어나 자본주의 경제가 급격히 발전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개인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조화시키는 일이 문제가 되었는데, 공리주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공리주의는 영국 계몽주의의 산물이기도 하다. 내세의 행복보다는 현재의 행복을 더 중시하고,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얻기 위한 도구적인 의미의 이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여기에서는 공리주의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제레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을 중심으로 하여 공리주의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⑴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벤담은 그의 저서 『도덕 및 입법 원리 입문』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자연은 인류를 두 개의 주권적 주인, 즉 고통과 쾌락의 지배하에 위치시켜 두었다. 그것들만이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지를 결정해 주는 동시에 우리가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를 지적해 준다.”
쾌락과 고통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며 우리가 쾌락을 원하고 고통을 피하고자 한다는 것도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벤담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서 쾌락은 유일한 선이고 고통은 유일한 악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벤담이 얘기하는 쾌락과 고통은 어떤 것일까? 쾌락에는 감각적 쾌락, 부의 쾌락, 친목의 쾌락, 명성의 쾌락, 권력의 쾌락, 경건에 쾌락 등이 있으며 고통에도 유사한 목록들이 있다. 하지만 벤담은 이런 여러 가지 종류의 쾌락과 고통의 질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즉,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는 동일하며 단지 양적으로만 다를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사회는 개인의 집합체이므로 개개인의 행복은 사회 전체의 행복과 연결되며, 더 많은 사람이 행복을 누리게 되는 것은 그만큼 더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최대행복의 원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개인들의 행복과 고통의 양이 측정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합산이 가능해야 한다. 벤담은 쾌락의 계산이 가능하다고 보았는데, 쾌락의 크기는 강력성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 등을 고려하여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쾌락 측정방법을 관련 당사자 모두에게 적용하여 산출한 후 합산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쾌락을 측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