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

 1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1
 2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2
 3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3
 4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4
 5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5
 6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6
 7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7
 8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8
 9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9
 10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10
 11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11
 12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12
 13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13
 14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14
 15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고전시가교육
고대가요
-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
목 차
1. 고대가요
1.1 구지가
1.2 공무도하가
1.3 황조가
2. 교육 방법
2.1 협동학습
2.2 직소 모형
3. 교육 방안
3.1 에 대한 교육 방안
3.2 에 대한 수업지도안
3.3 에 대한 교육 방안
3.4 에 대한 수업지도안
1. 고대가요
고대가요는 향가 성립 이전에 불리던 노래의 범칭(汎稱)으로, 그 연원은 구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집단적 원시종합예술의 형태가 기원 전후 1~2세기 삼국시대(三國時代)에 들어서면서 문학, 음악, 무용 등으로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가의 형태로서 그 구체적인 면모를 처음 드러내게 된 것이 바로 고대가요이다. 이와 같이 우리는 몇 가지 조형문화와 더불어 행위예술과 언어예술이 존재했을 가능성만 타진 할 뿐이다.
그 후 신석기시대에는 인간의 사유가 발전하고 많은 문화적 현상이 태동한다. 우리 문화는 고아시아족의 신석기문화와 알타이족의 청동기 문화가 만나 이루어졌는데, 이 전통은 부족국가시대까지 존속되었으며 대부분 제천의식과 가무가 결합된 형태의 것이었다.
고대의 예술은 종교적주술적 의식이나 사회적 생산 활동 속에 미분화 상태로 매몰되어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노래는 집단서정의 주술적인 것이었으며, 남녀가 무리 지어 놀았다고 하니 애정을 내용으로 하는 서정적인 노래도 상당히 불리어졌을 것이다.
남아 있는 작품은 · · 정도인데, 모두 한역(漢譯)으로 전한다. 노래 세 편이 지니는 공통점은 그것이 모두 노래로 전해지다가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 노래들이 널리 전해진 이유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고, 그럴 만한 이유란 의식적인 노래로서의 가치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면 이 노래들은 주술 또는 제의 중심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 구지가
또는 라고도 한다. 가락국 시조인 수로왕의 강림신화(降臨神話) 가운데 곁들여 전하는 신화 중의 삽입가요인데, 4구체의 한역가 형태로 전한다.
이 노래는 임금을 맞이하기 위한 민중의 노래이면서, 동시에 무가적인 주술성을 지니고 있는 서사시의 하나이다. 즉, 집단적 주술의 성격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연대: 미상
작자: 미상
가락국에 아직 임금이 없어 9명의 추장이 백성들을 다스리던 42년 계욕일에 마을 북쪽 구지에서 무엇을 부르는 수상한 소리가 났다. 마을 사람 이삼백 인이 그 곳에 모이니, 사람의 소리가 나는데 그 모양은 보이지 않고, 소리만 들리기를 “여기에 사람이 있느나?” 구간 등이 말하되, “우리가 여기에 있습니다” 또 말하되, “이 곳이 어디냐?” 대답하되, “구지입니다.” 또 말하되, “황천에서 나에게 명하시기를 이 곳에 와서 나라를 새롭게 하여 임금이 되라 하였으니, 너희들은 구지의 봉우리 흙을 파면서,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면 대왕을 맞이하는 일이 될 것이니, 기뻐하고 용약하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