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

 1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1
 2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2
 3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3
 4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4
 5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5
 6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6
 7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7
 8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8
 9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함축성에 대한 고찰
Ⅰ. 서론
Ⅱ. 본론
1.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함축성
2. 작품을 통해 살펴본 이미지와 형상성함축성
3. 시어의 이미지 교육
Ⅲ. 결론
Ⅰ. 서론
문학을 보통 “언어예술 또는 언어로 미를 창조하는 예술”(김준오, 1991:41)이라고 말한다. 문학은 언어를 통해서 작가의 사상 혹은 정서를 작품 속에 담아내고 또한 이것을 독자들은 언어를 통해 받아들여 작가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비교하며 소통하게 된다. 이러한 문학의 특성을 빗대어 박이문은 “언어를 떠난 문학을 생각할 수 없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정현종, 1995:46)라고 말하기도 했다. 여러 가지 문학 장르 중에서도 특히 시에서는, “언어가 시의 전부”(문덕수, 1993:80)라고 생각해도 큰 무리가 없을 정도로 시에서 언어가 가지는 비중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가장 높은 수준의 예술적 경지를 보여준다는 시에서 중요한 요소를 이루고 있는 언어는 과연 어떤 것일까? 어쩌면 고도로 조직된 예술 작품인 시에 쓰인 언어이니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언어와는 확연히 다를 것이라고 오해할 수도 있겠지만, “시에만 쓰이는 특수한 언어가 따로 만들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이형기, 1993:60) 즉, “일상어와 시어는 별개의 언어가 아니라 일상어가 시작품을 구성하는 재료가 되면 시어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어는 일상어로서 가지는 특성과 시어로서 가지는 특성”(문덕수, 1993:96)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상어가 그대로 시에 사용된다고 해서 시어와 일상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리차즈(I. A. Richards)는 『The Meaning of Meaning』이라는 책에서 시에 쓰인 언어(기호 : symbol)와 이 언어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thought)이나 관련(reference), 그리고 이 언어가 지시하는 대상(referent)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도식화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C. K. Ogden & I. A. Richards, 1946:11)
referent = reference = symbol 일상, 과학
referent ≒ reference ≒ symbol 문학
즉, 위에서 보듯이 일상어는 지시대상과 생각,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는 기호(언어)가 일치함을 보인다. 하지만 문학(시)에서 쓰이는 언어는 지시대상과 생각, 그리고 언어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고 “이들 사이에 긴장(tension)이 존재”(윤여탁, 2001:69)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일상어와 시어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이 둘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학의 언어(시어)와 일상의 언어가 그 뿌리가 같지만 모습이 다를 뿐임을 알게 되는 일이 문학 교육의 한 출발점이 될 필요”(김대행 외, 2000:129)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에 쓰인 언어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곧 이런 것은 시의 언어라고 볼 수 있고, 시라는 장르는 언어의 어떠한 특징들로 그 장르의 아름다움을 구현해내고 있는 것일까? 김대행은 이를 “시의 속성에는 음악성 외에도 이미지, 비유, 상징, 반어, 역설 등”(김대행 외, 2000:159)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시에 쓰인 용어의 특징을 설명하자면 그 범위도 넓고 각각의 분류 방법에서도 차이점을 보일 것이다. 하지만, 시를 교육할 때 시를 설명하는 용어가 불명확하다면 이는 교육현장에서도 혼란을 초래할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용어 중에서 ‘이미지’와 ‘형상성’, ‘함축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시의 이미지와 형상성함축성
우리는 보통 일상생활에서 ‘이미지’라는 말을 흔히 사용한다. 즉, “이미지란 용어는 특정한 문학적인 의미에서의 사용을 넘어서서 광범위하게 통용”(최동호, 1989:47)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용어가 문학적인 용어로 사용될 때는 “의식 속에 떠오르는 감각적 지각의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 그러한 대상을 환기시키는 언어”(이형기, 1993:102)라고 볼 수 있다. 즉, 우리는 문학(시)에 쓰인 ‘언어’를 통해 어떠한 대상의 모습을 떠올리고 그 이미지들(이미저리 : imagery)의 연관 속에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시에 쓰인 표현이 의미하는 바를 더욱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고 표현의 개성적인 신선감을 살리며 정서환기의 장치"(이형기, 1993:102)가 되기도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