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

 1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1
 2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2
 3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3
 4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4
 5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5
 6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6
 7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7
 8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8
 9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9
 10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10
 11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06년~1910년 경향신문에 실린 천주가사의 내용과 특성
1. 서론
천주가사는 18세기 후반 이벽(李檗, 1754~1786)의 「천주공경가」,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의 「십계명가」를 시작으로 해서, 1850년대 최양업(崔良業, 1821~1816) 신부의 「향가(思鄕歌)」등 여러 편의 천주가사가 창작되었다. 이들 천주가사는 대체로 천주교가 세력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서학과 천주교에 대한 변호나 천주요 교리의 대중적 확산이라는 목적에 충실한 것들이었다. 그러나 1886년 한·불 조약 이후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면서 작가 및 작품의 양적 팽창에 따라 천주가사의 내용 및 주제도 다양하게 분기되었고, 「경향신문」이나 「경향잡지」 등의 전문 수록 매체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이러한 추세가 가속화되는 양상을 띄게 되었다.
그간 천주가사는 신학적·음악적 측면에서 먼저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만학 영역에서의 본격적 연구는 하성래 하성래, 「천주가사의 사적 연구」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84. 후에 하성래 「천주가사 연구」, 확성두루가서원, 1985로 출간됨.
, 이경민 이경민, 「천주가사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1997.
의 연구가 있으며, 개화기 이후 천주가사에 대해서는 『경향신문』 소재 천주가사를 대상으로 한 심재근 심재근, 「천주교가사연구」, 『국어국문학연구』8,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2.
의 연구와 1910년 이후 『경향잡지』 소재 천주가사를 대상으로 한 진연자 진연자, 「천주가사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1992.
, 김종회 김종회, 「개화기 천주가사의 세계」, 『현대문학이론연구』26, 현대문학이론학회, 2005.
의 연구가 있다.
그러나 이들 천주가사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로 초기 단계의 연구 성과들로 천주가사의 개념과 범주 문제, 자료소개, 이본연구, 작가 연구, 일부 개별 작품 연구 등에 한정되어 있다. 시기적으로는 천주가사의 발생 시기인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중반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최양업 신부의 작품에 대한 연구나 저작 진위 문제 등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천주가사의 연구가 종교 차원의 연구가 아닌 문학 연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천주가사 전반에 관한 폭 넓고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기존 연구의 편협함과 특정 시기와 분야로의 쏠림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 가사 갈래의 측면과 관련하여 천주가사의 본질적 특성이나 미학은 무엇인지, 천주가사의 문학사적 의의는 무엇인지 등의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1906년에서 1910년 사이에 간행된 『경향신문』 「보감(寶鑑)」 소재 41편 천주가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내용과 특성에 대해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
2. 연구 대상 작품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