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

 1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1
 2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2
 3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3
 4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4
 5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5
 6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6
 7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7
 8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8
 9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9
 10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이론 개관, 사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리주의 이론의 적용
차 례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 개관
2) 사례 분석
Ⅲ. 결론
Ⅰ. 서론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문화 중 하나로 “좋은 게 좋은 거죠.”라는 것이 있다. 이 말을 풀이해보면, 서로 너무 불편하게 격식이나 형식(규칙) 따지지 말고 쉽고, 편하게, 좋게, 좋게 가자는 이야기다.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문화가 나타나게 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아마 유교적 문화를 바탕으로 서로 아는 사람끼리는 봐주고 챙겨주는 바탕에서 이러한 문화가 발생되어 이어지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우리는 이번 수업을 통해서 다양한 도덕 교육의 지표가 되는 여러 이론들을 만나고 있다. 그 중의 공리주의라는 이론이 있다. “공리주의”하면 쉽게 “최대다수 최대행복”이라는 말을 떠올릴 것이다. 그렇다면 얼핏 생각하기에 앞에서 지적한 “좋은 게 좋은 거죠.”라는 문화가 공리주의의 사례가 될 수 있을까 의문이 들게 된다. 이 글에서는 공리주의에 대해 간단히 이론적으로 정리해보고 우리가 생활 속에서 만나는 구체적인 사례를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비추어 보며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이론 개관 - 공리주의
(1) 결과주의
행위의 옳고 그른가의 판단 기준이 행위의 의도에 기초(칸트)해서가 아니라 그 행위의 결과에 기초해서 판단하는 이론을 말한다. 모든 인간 행위의 동기를 행복으로 보며 이 때문에 쾌락주의라고도 한다. 그렇다고 공리주의자들이 이성을 모두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공리주의자들이 보는 이성의 역할은‘어떻게 하면 더 쾌락을 취할 수 있을까’하고 고민하고 행동하게 하는 일이다. 흔히 알려진 것처럼 공리주의자들은‘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중시한다. 공리주의자에게는 어느 상황에서든 옳은 행위라는 것은, 다양한 행위들의 결과를 통해 판별된다. 즉 결과의 행복, 쾌락의 정도를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다. 결과의 행복에 대해서는 양으로 보는 관점과 질로 판단하는 관점으로 나뉘지만 공통적으로 결과가 가져오는 행복들을 검토함으로써 판별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공리주의자에게 옳은 행동이란 가장 많은 사람에게 가장 큰 행복을 줄 수 있는 결과를 예상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2) 양적공리주의와 질적공리주의
- 양적공리주의 (벤담)
행복이란 쾌락이고, 고통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보았다. 쾌락에 대해 종류 혹은 질적인 차이를 염두에 두지 않고 7가지 기준으로 선과 악을 양적으로만 측정할 수 있는 계산법을 제시하였다.(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 쾌락의 추구가 공리의 원리에 부합되도록 추구되었을 때 사회적으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성과 법률에 의한 사회 구현이 가능하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