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

 1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1
 2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2
 3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3
 4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4
 5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5
 6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6
 7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7
 8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8
 9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9
 10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10
 11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11
 12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운영전 분석 - 구조, 감상, 해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운영전(雲英傳)」분석
목차
1. 서론
2. 본론
2.1.「운영전」의 구조 분석-환혼 모티브
2.2.「운영전」의 감상과 해석-사랑을 중심으로
3.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운영전(雲英傳)」은 조선 중기 작자 미상의 한문고전소설로써, 남녀의 애정을 주제로 하여 환혼 모티브로 풀어낸 일종의 비극소설이다. 운영전의 주인공은 안평대군의 궁녀인 운영과 궐외 선비인 김 진사로서 둘은 이루어질 수 없는 비극적 사랑을 이끌어 가려하다 시대의 이데올로기에 부딪혀 결국 죽음을 맞게 된다는 비극적인 결말을 가지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남녀간의 정을 주제로 하는 것처럼 보이나, 그 내면에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을 인정하지 않고 그러한 감정을 마음껏 표출하지 못하는 시대의 불합리성을 폭로하고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심각한 억압이 당시 사회에 팽배했다는 것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운영전이 가지고 있는 작품으로써의 중요한 지점은 바로 환혼 모티브를 가진 구성이다. 이전의 몽유록계 소설이 입몽-몽중-각몽의 세 단계를 거치며, 그중 몽중의 이야기가 중심 내용이 되어 전개되고, 각몽 뒤 주인공은 몽중의 이야기로써 삶의 큰 깨달음을 얻고 입몽 전의 상태와 다른 자신으로 거듭나게 되는 구조는 몽유록계 소설의 대표적인 전형이며, 이는 또한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일들을 몽중에서 이룬 뒤 각몽하여 느끼는 허무함을 바탕으로 소설로 하여금 현실 비판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우회적 도구였다. 그리고 운영전은 이러한 몽유록계 소설의 구조와 비슷해 보이는 지점을 가지고 있다. 중심 이야기의 주인공인 운영과 김 진사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또 다른 주인공인 유영은 안평대군의 옛 터인 수성궁을 찾아가 그 곳에서 술을 먹고 취하여 잠시 잠에 든다. 그 후 정신이 든 유영이 운영과 김 진사를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작품의 마지막인데, 운영전은 이러한 운영과 김 진사의 이야기가 유영이 꾼 한낮의 꿈이 아니라 운영과 김 진사를 천상계의 사람이 잠시 적강한 것으로 설정하여 그들이 다시 천상계로 돌아가는 것으로 마무리 짓는다. 또한 김 진사가 기록한 책자를 남김으로써 이야기에 현실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처럼 언뜻 보면 몽유록계 소설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여기에는 환혼 모티브가 강하게 드러나 있음으로써 기타 몽유록계 소설과는 차별화된 지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설의 주제가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에 기반한 남녀간의 진실한 사랑이라는 점에서, 필자는 본고에서 작품에 대한 해석과 감상을 사랑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해보고자 하며, 이 모든 것을 바탕으로 운영전이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는 바이다.
2. 본론
2.1「운영전」의 구조 분석-환혼 모티브
환혼(還魂)은 말 그대로 죽은 자의 영혼이 천상세계가 아닌 현실, 지상세계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환혼 모티브는 비현실적이지만 작자의 사상을 담을 수 있는 그릇으로 쓰여 왔다. 최진영, 「운영전(雲英傳)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운영전은 얼핏 보면 몽유록계 소설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그것과는 다르게 확연히 차이가 나는 환혼 모티브를 가지고 있다. 먼저 운영전이 몽유록계 소설처럼 보이게 되는 이유는 소설의 첫머리에 유영이 잠시 잠드는 부분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영의 잠은 이야기에서 지속되지 않고, 운영과 김 진사를 만나기 전에 달아나버린다.
유생은 바위 위에 앉아 소동파(蘇東坡)가 지은 ‘아상조원춘반로 만지낙화무인소(我上朝元春半老滿地落花無人掃)라는 시구를 읊었다. 문득 차고 있던 술병을 풀어서 다 마시고는 취하여 바윗가에 돌을 베개삼아 누웠다.
잠시 후 술이 깨어 얼굴을 들어 살펴보니 유객은 다 흩어지고 없었다. 동산에는 달이 떠 있었고, 연기는 버들가지를 포근히 감쌌으며, 바람은 꽃잎을 어루만지고 있었다. 그때 한 가닥 부드러운 말소리가 바람을 타고 들려왔다. 유영은 이상히 여겨 일어나서 찾아가 보았다. 한 소년이 절세미인(絶世美人)과 마주앉아 있다가 유영이 옴을 보고 혼연히 일어나서 맞이하였다. 구인환, 『우리 고전 다시 읽기 -「운영전」』, 신원문화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