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

 1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1
 2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2
 3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3
 4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4
 5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5
 6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6
 7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7
 8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8
 9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9
 10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10
 11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11
 12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12
 13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13
 14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14
 15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연구] 연암 박지원 문학 연구 - 허생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연암 박지원
문학연구
(을 중심으로)
목차
1. 박지원
2. 박지원 문학의 성격
3. 박지원의 대표작품
4. 박지원의 문체
5. 연구
6. 박지원의 문학사적 의의
1. 박지원
1) 생애
연암 박지원은 서울의 명문거족 출신이었으나 대체로 불우한 생애를 보냈다. 대대로 높은 벼슬과 학문으로 이름을 떨쳤던 반남박씨 후예로서 조부 필균은 경기도 관찰사, 대사헌, 예조참판, 지돈녕부사를 지냈으며 아버지 사유만은 벼슬을 하지 않았다. 조부가 고관대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청빈, 엄격해 박지원 형제는 책을 펴 놓고 공부할 만한 장소마저 없었다고 한다. 20세를 전후한 무렵에 불면증, 우울증에 걸려 고생을 했는데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하인이나 민옹 같은 문객을 불러들여 농담이나 시정에 떠도는 흥미로운 이야기로 소일을 해 보기도 했으나 쉽사리 낫지 않았다고 한다. 그 우울증은 사회적 불만에서 온 것으로 추측된다. 그 때 하인이나 문객들로부터 들은 많은 이야기들은 뒷날 그가 쓴 소설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그는 또 과거로 입신하기 위한 학문을 하지 않았다. 학문에 몰두하던 시절의 박지원은 뜻이 맞는 홍대용과 깊이 사귀었으며 실학시대의 이른바 한문 사대가인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등과 사우 관계를 맺어 그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42세 때 황해도 금천의 연암 골짜기로 들어가 은둔생활을 했다. 그 때의 생활이 국가 경제에 대한 실학적 관심의 소산이 나타나던 시절이었다. 44세에는 8촌형인 박명원이 청나라 고종의 칠순축하사절로 중국에 가게 되어 동반하게 되었다. 융성기에 접어든 청조의 문물을 샅샅이 견문하고 그쪽의 허실을 몰래 탐지해 국익을 도모하자는 것이 내심의 계산이었다. 그 때는 마침 청의 고종이 피서차 북경을 떠나 열하라는 곳에 가 있어서 거기 가서 머물다가 왔는데 후에 내 놓은 방대한 분량의 기행문이 그 유명한 이다. 50대 이후에는 주위의 천거로 벼슬길에 나아가 실학으로 사회에 직접 봉사하는 길을 택했다. 박지원은 스스로 천성이 게으르고 근검하기를 좋아하지를 않는다고 했듯이 성격이 호탕하고 자유분방했다. 불우한 선각적 지식인으로서의 사회비판적 자세를 늦추지 않은 채 위선과 싸우는 데 일생을 바쳤다.
2) 시대적, 사회적 배경
박지원이 활동했던 시기는 주로 18세기 후반이다. 임, 병 양란이 지나고 외부적 충격과 격동은 많이 진정되었지만 그로 인한 자아각성이 점차 사회로 내면화되면서 반성과 비판이 커져갔다. 사회전반에 걸쳐 구조적 모순들이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집권층과 추종자들은 중세적 이념과 질서를 수호하고 중세적 이상을 재현하고자 했지만 비판적 지식인과 서민들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중세사회를 해체하고 근대화로 촉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이 때 비판적 지식인으로 등장한 박지원은 반중세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는 근대화를 앞당기는 데 사상적인 선도역을 담당할 수 있게 했다. 그의 모든 사상은 결국 근대화라는 역사적 과제와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3) 사상
(1) 실학사상
박지원의 사상 가운데서 가장 뚜렷한 것은 실학사상이다. 그는 선비를 왕공과 벗하는 존재, 등급을 매길 수 없을 정도로 고귀하고 능력 있는 존재라 규정하고는 실학으로 농, 공, 상에 공헌하는 것이 그 사명이라고 주장했다. 실학은 주자학의 관념성, 비생산성, 실생활과의 유리 등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실용주의적 학문이다. 실학에는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 혁신을 주장하는 이용후생학파와 토지나 행정에 관한 제도상의 개혁을 주장하는 경세치용학파, 사실의 고증에 몰두하는 실사구시학파 등의 유파가 있었는데 박지원은 일명 북학파라고도 불린 이용후생학파를 주도했다. 그는 도덕을 이용후생에 앞세우는 유학의 이론을 거부하면서 이용후생을 도덕에 앞세웠다. 이용후생이란 사물을 그 성격에 따라 유익하게 활용하여 생활을 풍요하고 편리하게 한다는 뜻이다. 유교적 풍토 속에서 상공업을 경시한 결과로 빚어진 국민 경제의 파탄을 이용후생으로 극복하자는 것이었다. 백성들의 경제생활에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농공상업을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수레, 벽돌, 말, 토지, 수리, 농기구 등의 구체적인 사물을 국민경제와 직결시켜 논의하였다.
(2) 인간 본성 중시 사상
박지원은 중세사회 속에 매몰되고 억압되어 온 인간본성을 긍정하고 옹호하는 데도 적극성을 보였다. 의 서문에서는 정욕의 중요성을 설득력 있게 강조했다. 도덕이 선행한다는 유학의 이론에서와는 달리 정욕 또는 정이라는 것이 타고난 욕구임을 강조했다. 또한 정욕을 강조하되 그것을 과부의 외로운 생활과 관련지어 그것을 의 서문에 실음으로써 여성에게 강요되는 사회적, 도덕적 규범이 얼마나 가혹한 것인가를 지적하면서 유교적인 도덕관념, 불평등한 신분제, 여성경시의 사회풍토, 사대적인 권위주의 등 인간 본성을 부정하는 사회악을 규탄하고 인간본성의 회복을 역설하였다.
(3) 토지개혁 및 경제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