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

 1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
 2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2
 3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3
 4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4
 5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5
 6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6
 7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7
 8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8
 9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9
 10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0
 11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1
 12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2
 13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3
 14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4
 15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5
 16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6
 17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최인훈 회색인 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아성찰과 주제구성의 관념적 완고함 」
- 최인훈 ,『회색인』을 중심으로 -

1. 작가소개
(1) 작가의 생애
(2) 작품 경향
2. 작품분석 - 줄거리 중심으로
3. 작품분석 - 인물 중심으로
(1) 작가의 현실 인식 대변
(2) 작중 인물들의 현실 인식
(준, 학, 황선생, 김소위)
4. 독고준의 자아 성찰 과정과 현실 대응
1. 작가소개
최인훈은 소설가이자 희곡작가이다. 주요 작품 가운데 은 남북한의 이데올로기를 동시에 비판한 최초의 소설이자 전후문학 시대를 마감하고 1960년대 문학의 지평을 연 첫 번째 작품으로 평가되며, 문학적 성취 면에서도 뛰어난 소설로 꼽힌다. 또한 은 1963년부터 1964년에 걸쳐 쓰여진 그의 장편소설로, 불안과 소외의식 등으로 고뇌하는 현대인의 내면세계를 그린 작품으로 여겨진다.
(1) 작가의 생애
풍요로운 유년과 책읽기
최인훈은 1936년 두만강변의 국경도시 함경북도 회령에서 목재상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원목을 공급할 수 있는 산판과 이를 상품으로 가공하는 제재소를 함께 운영하는 자영상인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사업가로서의 바쁜 나날 속에서도 책 읽기에 힘을 기울이는 지적 성실성을 보여줌으로써 일찍부터 최인훈에게 지적 영향을 미친다. 이런 아버지의 영향으로 최인훈은 어린시절부터 책의 세계와 가까워질 수 있었다. 훗날 시인이나 작가가 된 사람들의 어린 시절이 대개 그러하듯이, 그는 이때부터 책을 읽는 일에 남다른 열심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 시절은 최인훈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 가장 단란하고 풍요하며 평화로운 기억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쟁, 그리고 어린 그에게 남은 상처
공산정권에 의해 중상류층 부르주아지로 분류된 아버지는 더 이상 고향땅에 발붙이고 살 수가 없어 원산으로 이주한다. 최인훈이 한국전쟁을 맞은 것은 원산고등학교 2학년 때였다. 그리고 그 해 12월 원산항에서 해군함정 LST로 전가족이 월남한다. 최인훈의 가족은 다행히 원산이 본래의 생활터전이 아니었고 또 가족 일부가 잔류하여 기댈 만한 언덕도 없었으므로 전원이 월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삶의 근거를 뿌리 채 뽑혀야 했던 이 피난의 체험은 최인훈의 의식에 깊은 상처로 각인되어 이후 그의 삶과 문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비평가들은 이를 LST의식 또는 피난민 의식이라 불러 최인훈 문학을 이해하는 핵심 열쇠의 하나로 보고 있다. 작가가 분단과 모순의 극대화인 전쟁을 겪으면서 입은 외상(트라우마)이 작가 스스로에게 일종의 콤플렉스로 자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모 문학지와의 인터뷰에서 이 체험에 대한 감회를 이렇게 밝히기도 했다.
"삶이란 단단하지 않고 늘 출렁거리는 거라는 이미지는 내 경우에 가장 절실했던 것 같아요. 내가 서울대 법대를 꼭 한 학기 남겨두고 그만둔 것도 그래서였을 겁니다. 내 대학생활도 출렁거린다는 점에서는 다를 바가 없었어요."
여타의 작가들이 보여준 것과는 다르게 그가 군대생활 중에 등단을 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그런데 군대는 거기 있는 일정기간 동안에는 내가 판단할 필요가 없더란 말이에요. 병영 이상으로 출렁거리지 않는 곳이 어디 있겠어요? 병영은 출렁거림을 허용하지 않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