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근현대사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

 1  일본근현대사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1
 2  일본근현대사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2
 3  일본근현대사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3
 4  일본근현대사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근현대사상 사회주의와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일본근현대사상
목차로는 사회주의, 일본의 초기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전향문제 로 나뉘어져있습니다.
첫 번째로 사회주의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사회주의란 자본주의의 노동임금의 착취와 그에 따른 경제적불평등 등에 반발하여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관리, 개혁적인 생산과 평등한 분배를 주장하는 이론 또는 사상입니다.
이 개념에서 보시면 얼핏 공산주의의 개념이 떠오르실텐데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보면
공산주의는 생산의 사회화뿐만 아니라 분배에 있어서도 공평을 요구한다는 것이고, 사회주의는 생산의 사회화를 통하여 자본주의의 모순을 해결하고자하는 사상을 사회주의라 합니다. 사회주의는 공산주의, 무정부주의, 사회 민주주의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가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있다는 점. 그 점은 일맥상통하게 보면 되겠지만,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똑같은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아 두시면 좋겠습니다.
사회주의는 개인주의와 자본주의문제로 인해 발생한 사회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극복운동을 했다는 것, 또 최초로 국가와 사회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분석했다는 것, 국가와 사회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또 직접적인 실천을 했다는 점 등 역사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사회주의 사상이 일본에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사회주의가 단체, 형체로써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880년대라고 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1882년에 동양사회당, 동양사회당은 다루이 토키치등이 발기를 해서 이루어졌습니다, 주로 평등주의, 하늘이 내려 준 물건은 공유해야한다는 공동생산, 공동분배의 의미를 지닌 천물공유를 주장하며 시작되어지고 있었습니다. 즉 농민들에게 균등한 토지분배를 주장하고 있는 것 이라 볼 수 있습니다.
또, 같은 해인 1882년에 도쿄의 인력거 인부들이 철도마차 박멸을 기치로 결성 된 차회당 등이 1880년대 일본의 초기 사회주의 모습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정부의 개입으로 2~3개월 정도 밖에 존속을 하지 못했지만, 사회주의가 일종의 이익집단의 하나의 위기탈출의 출구로 이용되어지고 있다는 점을 알 수가 있겠습니다.
그리고 마츠가카 재정 이후에는 [하층사회]라는 사회문제가 청일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하면서 사회주의 사상이 퍼져나가게 됩니다. 특히 이 시기에 이시카와 쿄쿠잔이라든지 고토쿠 슈스이등이 책을 만든 [일본사회주의사]가 있는데 일본사회주의에 위대한 명작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청일 전쟁의 종결을 알리고, 사회운동의 무대가 열렸다. 라고 당시 사회주의 운동의 확산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또 이 시기부터 사회주의 사상과 공산주의는 노동자를 중심으로 확산되어왔습니다. 이것이 노동운동의 계기가 됩니다. 다카노 후사타로와 가타야마 센 이라는 사람이 지도자가 되어서 노동력을 팔아 생활을 해 나가는 또하나의 정로자로서의 자각을 호소하는 것으로부터 사회주의는 출발한다고 하는데, 이 정로자는 올바른 길을 가는 사람을 칭하는 말이고요. 그중에서 다카노 라는 사람이 [직공제군에게 말한다.]라는 논문을 썼는데요. 이 논문 제목으로만 봐도 산업이 얼마나 발달 하였으며, 노동자 계급의 사람들이 얼마나 많았을지 예상을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사람은 젊었을 때 미국에서의 노동과 노동운동의 경험을 살려 이 책을 썼다고 하는데, 일본에서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저작물이 이 논문입니다. 즉 사회주의 사상에서 노동계급을 위한 운동의 형식으로 출판된 책이 바로 이 [직공제군에게 말한다]라는 책이다. 라는 것을 알 수가 있겠습니다. 이후에 니시카와 고지로 라는 사람과 가타야마 센이 공동저작을 해서 [일본의 노동운동]내고 있는데요. 이 이후부터 일본에서는 노동운동이 본격적으로 활성화 되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