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동승 분석

 1  희곡 동승 분석-1
 2  희곡 동승 분석-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 동승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희곡 「동승」분석
「동승」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자유로운 삶과 사람들 사이의 애정이라는 인간적인 욕망을 긍정했다는 점이다. 즉, 작가는「동승」을 통해 주지 스님이 상징하고 있는 종교나 신앙도 결코 도념이 원하는 이런 인간적인 욕망에의 지향을 막을 수 없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함세덕은 인간의 진정한 행복이 인간다운 삶을 추구하는 가운데 나올 수 있다고 보고 동승 도념을 통해 이 같은 자신의 이상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런「동승」의 주제는 작품을 접하는 모든 이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 작품에 나오는 도념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강한 애정은 혈연을 중시하는 우리 민족에게는 매우 익숙하여 정서적인 유대를 느끼게 해준다.
무대는 동리에서 멀리 떨어진 심산고찰. 열 네 살의 사미승 도념은 자기를 버리고 달아난 어머니를 그리워하고 있다. 도념은 불가에 몸담고 있지만, 마을 아이들의 노랫소리가 독경소리보다 좋게 들리고, 스님 몰래 토끼사냥을 하는 것이 더 어울리는 어린아이인 것이다. 주지 스님의 호된 꾸지람을 들으며 불가의 길을 걸어야 하는 운명과 이를 벗어나서 어머니와 친구들이 있는 세속의 세계로 돌아가려하는 의지 사이에는 실로 깊은 골이 있는 바, 이 작품은 그 운명과 의지사이의 골을 서서히 드러내고 있다. 그 골을 깊게 해주는 존재가 바로 미망인과 초부이다. 도념은 미망인에게서 존재하지 않는 어머니의 허상을 보며, 초부에게서 세속세계의 따뜻함을 경험한다.
결말 부분에서 도념은 결국 어머니가 존재하는 속세를 향해 홀로 떠난다. 도념에게 정작 필요했던 것은 불성이 아니라 인성이었던 것. 이러한 결말은 자칫하면 감상성으로 빠지기 쉽다. 그러나 이 작품에는 말없이 도념을 도와주는 초부와 정심, 겉으로는 엄격하면서도 내심으로는 도념을 사랑하는 주지스님. 죽은 아이 대신에 도념을 수양아들로 삼으려는 미망인의 간절한 심정을 적절히 배치하여, 참다운 사랑의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이 줄거리를 전개시키고 있는 모티프들은 저항과 억압, 그리고 구원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저항의 모티프는 주인공인 도념이 가지고 있는 자신의 어머니의 정체와 소재에 대한 궁금증, 그리고 모정에 대한 갈망과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절을 떠나고 싶은 충돌이 이에 포함되고 있다.
억압 모티프는 도념을 둘러싸고 있는 인물들의 이의 저항에 대한 저지, 방해. 지연의 모티프로써 주지, 정심, 초부. 인수, 미망인의 친정모등의 인물들이 도념에 대한 욕망을 저지하고 방해하는 것들이 이에 포함되고 있다.
구원의 모티프는 서울 안대감집 미망인과 인수 아버지인 초부의 인물들이 도념에게 친화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그를 도우려는 것들이 이에 포함된다.
이 작품의 곳곳에는 사전암시가 빈번하게 배치되어 있어 극적 긴장감의 조성과 극적 사건진행에 속도감을 부여하고 있다. 사전암시는 도념의 살생(덫을 놓아 토끼를 잡는 행위) 으로 인한 구원의지의 좌절과 떠남(어머니를 찾기 위해 절을 떠남)의 저항 모티프를 사전에 배치해 놓음으로써 관객의 극적 호기심을 자극하여 극적 긴장감을 조성하면서 줄거리를 전개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