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

 1  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1
 2  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2
 3  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3
 4  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4
 5  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5
 6  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리주의 - 5학년 - 6 나와 우리 - 빈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리주의
Ⅰ. 개념정리
1. 공리주의의 정의
1) 정의 : “공리(Utility)"에 기초하여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실현하려는 윤리설
2) “공리”란? : 공리(Utility)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유용성(usefulness)이라는 뜻으로 이해된다. 어떤 행위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행복을 증진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경향에 따라 그 행위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원리(J.Bentham)
즉, 관계 당사자에게 편의, 이익, 쾌락, 복지, 행복을 발생시키거나 손실, 고통, 재난, 불행을 제거하는 사물의 본성이 곧 공리(功利)이다.
3) 공리의 원칙(Principle of utility) : 모든 행위에 있어서 추구되는 도덕적 목적은 전체로서의 세계에 있어서 악을 뺀 가능한 최대의 선
2. 공리주의의 개념
- 의무론적 이론과 이기주의 이론의 결함을 교정해 주는 사상
- 벤담의 공리주의에 의하면 유용한 것은 선한 것이고, 선한 것은 행동의 가장 좋은 결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여기에서 가장 좋은 결과란 행복이며, 행복은 쾌락을 극대화하고 고통을 극소화하는 것이라고 본다. 벤담은 행복을 증진시키느냐 감소시키느냐에 따라 어떤 행동을 승인하고 거부하는 원리 즉 공리의 원리를 내세운다.
3. 공리주의의 역사
-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쾌락주의의 전통 위에 서 있다. 쾌락은 근본적으로 육체적 쾌락을 말한다. 이런 쾌락주의의 전통은 고대 그리스의 에피쿠로스(Epikouros, 341~270 B.C.)로부터 시작된다. 에피쿠로스에 따르면 인간을 구성하는 원자들의 운동이 어떤 외부의 힘에 의해 교란될 때 생겨나는 감각이 고통이고, 다시 본래의 상태를 회복할 때 느끼는 감각이 쾌락이다. 따라서 쾌락이란 육체에 고통이 없고, 영혼에 불만이 없는 상태라 할 수 있다(이런 마음의 평정심을 에피쿠로스는 “아타락시아”[Ataraxia]라고 부른다.) 바로 이런 쾌락의 상태를 벤담은 행복과 등가(等價)라고 보고, 어떤 양적 기준에 의해 행복을 측정할 수 있다고 믿었다. 왜냐하면 벤담은 영국 경험론의 전통 위에서 쾌락을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경험론은 오로지 감각을 통해서만 인식할 수 있고, 가치도 느낄 수 있다고 본다.
4. 밀의 공리주의
-벤담의 “최대다수 최대행복”의 윤리학을 가장 훌륭하게 발전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