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

 1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1
 2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2
 3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3
 4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4
 5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5
 6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6
 7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7
 8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8
 9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9
 10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10
 11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초등도덕교육개론
--
흄의 도덕감정론과 현대초등교육에의 적용
초등도덕교육론
목 차
1. 선정이유
- 데이비드 흄을 선정한 배경
2. 흄 윤리의 이론적 개관
가. 역사적 상황 - 계몽과 이성의 시대
나. 흄의 인식론
(1) 두 가지 종류의 인식이 있다는 학설에 대한 공격
다. 흄의 도덕론
(1) 영혼과 자아관념에 대한 거부- 인간의 마음은 지각의 다발이다.
(2)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다.
(3) 사회는 인간본성이 빚는 나쁜 결과를 줄인다.
3. 사례 분석
동정심 -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기
도덕성에 대한 고찰
4. 흄 이론의 초등교육 적용점
-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실제 수업에의 적용
5. 맺음 글
6. 참고 문헌
1. 선정 이유 -데이비드 흄의 사상을 선택한 배경
학업 위주의 교육이 성행한다고 하지만, 개인적으로 초등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인성교육이라고 생각해왔다. 일생을 살아가는 가치관을 형성해나가는 시기이기도 하며, 다른 분야의 정신적 발달에 있어서도 기초가 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올바른 인성교육 을 위한 주요 방법론을 찾기 위해 철학이나 도덕론에 집중하기도 하였다. 윤리나 철학은 그 범위가 매우 넓지만 초등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습득해야할 ‘도덕적 행위에 관한 기준’ 을 정하는 가장 좋은 학문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도덕적 행위에 관한 이론들 중 초등교 육 현장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한 철학자는 ‘흄’이었다. 흄은 도덕적 행 위의 판단기준이 이성이 아니라 감성이라고 주장한다. 이성으로는 도덕적 행위의 기준을 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도 하거니와 인간의 의식에 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 이 무의식이며, 그 무의식은 감성과 더 밀접한 연관을 짓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학교에서 일어나는 상황들을 눈여겨보았을 때, 정신적 성숙이 미숙한 초등학생들 은 이성보다는 감성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그 감성은 그들의 무의식을 기본으로 한다 는 생각이 스쳐지나갔다. 그리고 도덕적 행위로 인한 감정의 변화를 ‘공감’이라는 개념으 로까지 확장시킴으로써 학생들이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도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판단도 하게 되었다.
2. 흄 윤리의 이론적 개관
가. 역사적 상황 - 계몽과 이성의 시대
데카르트가 죽은 1650년부터 흄이 죽은 1776년까지의 125년 동안에 유럽의 철학적 삶은 그 강렬함과 자기확신, 생명력과 낙관주의에 있어서 전대미문의 절정에 달해 있 었다. 이 1650년부터 1770년까지의 시기는 계몽시대로 알려져 있다. 계몽기대의 철학 적 전망과 분위기는 유럽과 아메리카를 휩쓸었다. 미국에서는 합중국의 창건자들인 제 퍼슨 메디슨, 아담스, 해밀턴 등이 계몽철학에 전념했다. 계몽시대에는 스콜라철학, 종 교적 독단론, 정치적 절대주의 등을 지닌 암흑을 추방하고 인간이성이 자연과 인류에 대하여 위대한 빛을 발휘하고 있는 시대로 이해되었다. 또한 이 시대에는 두 가지의 중요한 철학적 방법론으로써 합리론과 경험론이 경쟁을 벌였다. 뉴턴이 그의 만유인력 법칙을 확립하는데 어떠한 방법론을 채택하였는가에 관해 합리론은 데카르트의 입장에 동의를 하면서 ‘이성’이 진리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요, 검증기준이라고 주장한다. 인식 이 추구되는 모든 영역에서 우리는 그로부터 다른 진리들을 연역하고 진리의 연역적 논리적 체계를 구성하는 명석하고 판명한, 자명하고 참된 공리들로부터 시작해야만 한 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비해 경험론 자들에 의하면 뉴턴은 새로운 과학적 도구들을 통 해 얻은 감각적 경험자료에 의한 사실들의 관찰로부터 출발했다고 주장한다. 경험론의 핵심 논쟁은 ‘어떻게 인식하는가?’와 ‘인식의 한계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었다.
나. 흄의 인식론 - 이성의 역할은 미미하다
흄은 의 서두에서 그는 연구목적이 인간학을 연구하고 인간본성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흄에게는 인간본성에 대한 과학인 인간학을 연구하는 것은 실로 모든 인간지식의 기초를 연구하는 것이다.
(1) 두 가지 종류의 인식이 있다는 학설에 대한 공격
모든 인식의 기초는 무엇인가를 묻는 그의 의도는 감각지각에 의한 인식이 한가지 종류의 인식으로 구성되는 오직 하나의 인식기초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 이다. 흄은 두 종류의 인식이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는 이성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형이상학적 인식이 거짓이며 환상이라고 꼬집는다. 흄은 인식의 유일한 원천인 감각지각에 관해 주장하기를 의식일반의 내용을 그는 ‘지각’(데카르트는 지각과 관 념이라는 개념을 혼용했다)이라고 부르며 이 ‘지각’을 ‘인상(impression)’과 ‘관념’으 로 나눈다. ‘인상’은 우리들의 직접적인 감각, 열정, 정서 등이요, 보고 만지고 듣고 욕구하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것 등의 직접적인 자료이다. ‘관념’은 우리가 직접적인 인상들 중의 어떤 것을 마음속에서 생각하거나 상기하는 것처럼 인상의 모사 또는 희미한 표상이다. 또한 ‘인상’은 더 “강력하고 격렬하게” 우리의 의식 속에 각인된 다.